EZ EZViwe

[정기춘 원장 성공경영 40]Making Dentistry Productive 생산적인 치과 만들기 (18)

관리자 기자  2004.11.15 00:00:00

기사프린트

 

 

 

퀄리티를 올리기 위한 치과의 환경 정비(5)


치과의 퀄리티를 업그레이드하기 위해서 먼저 현재 자신의 치과에 대한 냉정한 진단이 필요하다. 1년에 1~2회 정도 본원의 환자를 위한 치과서비스의 실태조사를 실시하여 퀄리티 향상을 위한 부분들을 점검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음 아래에 치과 서비스 실태 조사를 위해 대략 9가지 항목으로 조사 대상과 항목을 선정해 보았다.

 

5. 치료내용에 관해 점검하라.
1) 환자 입장에서 쾌적한 치료가 제공되고 있는가?
2) 치료시간은 적정한가? 치료 시간을 미리 환자에게 알리고 환자 상태를 고려해서 정하는가?
3) 특히 장기간 치료 환자의 경우 치료 스케줄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해서 알려 주는가?
4) 전체적인 치료계획 계약 후 환자와 면담하여 앞으로 진행될 치료 계획에 대하여 알려 주는가?
5) 환자가 알기 쉽고 환자 눈높이를 고려한 치료 설명이 가능한가?
6) 약속된 치료가 진행되는가? 예를 들어 보철물은 예정된 시간에 제작되고 delivery 되는가?
7) 환자의 통증과 공포를 최대한 배려하는가?

 

6. 진료서비스에 관해 점검하라. 치료하는 의사의 서비스 점검
1) 환자와 충분한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지는가? 단순히 치료만 하는 접근에서 탈피해서 전인적인 치료로 접근하는가?
2) 환자의 개별적 요구를 반영하고 환자의 요구를 수용하는 경청습관이 있는가?
3) 동통조절을 위한 노력과 gentle approach를 하는가?
4) 환자의 심리를 반영한 치료를 하는가?
5) 환자 입장에서 담당 의사가 친밀하고, 친해지기 쉽다는 느낌을 갖게 하는가?

 

 

※ 치료시 동통 조절에 대한 기본적 점검사항의 예
① 마취가 필요할 때 미리 환자에게 예고한다.
② 물리적으로 최대한 아프지 않게 하는 노력과 심리적 동통 조절이 필요하다 : 자입 부위에 미리 도포마취와 함께 환자 설명이 필요하다.
③ 모든 치료는 치료 전 설명이 필수적이며, 환자가 술식에 대한 공포를 느낄 때는 최대한 반영하도록 한다.
④ 기구를 다룰 때 부주의에 의한 행동이나 소리들도 점검한다.
⑤ 환자가 보는 앞에서의 기구나 재료의 이동을 주의한다 : 위생 및 공포에 대한 배려
⑥ 접촉에 의한 불쾌감도 고려한다 : 미러를 다룰 때, 리트렉션 시, 석션 시
⑦ 치료 중간중간에 진행사항을 알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