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대체의학의 관심이 집중됨에 따라 이에 대한 연구기관 설립, 안정성과 효과성을 입증해 연수 강좌 등 교육적 제도를 마련함과 동시에 진료를 가능케 하는 제도적인 장치가 마련돼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이와 같은 주장은 지난 25일과 26일 펼쳐진 대한병원협회 병원 관리 학술대회에 분과토의에서 이성재 교수(가천의대)가 ‘보완대체의학의 추세와 미래’라는 보고서에서 밝힌 내용이다.
이 교수는 보고서에서 “세계적으로 보나 국내에서도 대체의학을 찾는 환자수가 크게 급증하고 있는 반면 국내 대체의학에 대한 정부의 지원이나 정책은 전무하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이 교수는 “대체의학의 안정성과 치료의 효과성을 과학적으로 입증하고 무분별하게 난립하고 있는 각종 대체요법을 규제하는 한편 입증된 대체의학을 효과적으로 사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대안으로 이 교수는 “미국의 경우 대체의학에 대한 의사들의 연구 단체를 결성해 연구 중에 있으며, 유럽도 범 유럽 차원에서 안정성과 효과성을 입증하는 제도적인 장치가 마련돼 있다”고 설명했다.
또 이 교수는 “대체의학에 대한 포괄적인 연구로 선진국의 십수년간의 연구 사례가 좋은 예가 될 것”이라고 주장하는 한편 “연구를 통해 효과성과 안정성이 입증된 대체의학 효과를 기대해도 충분하다”고 주장했다.
이 교수는 대체의학 연구 기대 효과로 “항생제 등의 약품 오남용 등이 줄어들 수 있으며, 의료비 절감 효과와 함께 동일 질환에 따른 다양한 치료를 제공, 의료 서비스를 질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 교수는 이 밖에 “의료 개방 시 국내 특유의 대체의학 개발을 통한 경쟁력을 확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며 “서양 의학과 한의학, 대체의학의 특징만을 선별한 융합(통합)의학을 개발, 경쟁력 있는 의학을 창출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김용재 기자 yonggari45@kda.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