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임상강좌(6)치의신보,기재학회 공동기획]대주제:치과재료의 현주소

관리자 기자  2004.11.29 00:00:00

기사프린트

●배지명 교수


■학력
연세치대 치의학사
연세대 치과재료학교실 조교
연세대 대학원 치의학 석·박사


■경력
일본 Tokyo Dental College 치과이공학교실 연구생
현) 일본치과이공학회 회원
원광대 치과생체재료학교실 전임강사
대한치과기재학회 이사
식품의약청 의료기기위원회(기준규격분과위원회) 위원

 

 

 

치과용 포스트


근관치료를 한 치아는 생활치보다 생역학적으로 파절의 위험성이 더 크다. 치질의 손실, 수분의 감소에 따른 근관 내부의 푸석해짐으로 인해 파절에 이르기 쉽게 된다. 많은 임상 결과 보고에 따르면 포스트는 치아의 강도를 보강해주기 보다는 오히려 치근의 천공, 포스트의 탈락이나 파절 등을 야기할 수 있다. 실패의 주된 원인으로는 치아우식, 포스트의 유지력의 상실, 크라운의 유지력 상실, 치근파절, 포스트의 변형, 포스트의 파절 등이 있다.


이상적인 포스트는 치근의 잔존 상아질에 과도한 힘을 가하지 않으면서 코어 재료에 유지력을 제공해야 한다. 치아에 스트레스를 최소로 가하도록 힘을 잘 분산시켜야 하고, 근관 재치료시 쉽게 제거될 수 있어야 한다. 포스트의 강성(rigidity)에 대해서는 여러 견해가 있는데, 높은 강성율이 응력의 분산에 더 유리하다는 의견과 낮은 것이 임상적으로 더 낫다는 의견이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실험실 연구에서 금속 포스트는 치근 파절율이 높다고 나타났다.


과거에는 근관치료한 치아의 수복에 cast post나 기성 stainless steel post를 주로 사용했으나 이러한 금속 포스트는 치질보다 높은 탄성 계수로 인해 치근 파절을 야기함이 보고됨에 따라 최근에는 이런 금속 포스트의 단점을 보완해 섬유 강화 포스트(fiber-reinforced post)가 개발됐다. 섬유 강화 포스트로는 처음에 carbon fiber 포스트가 사용됐는데, 여러 가지 장점에도 불구하고 어두운 색으로 인해 심미성이 요구되는 부위에 사용하기 어려워 최근에는 glass fiber와 가장 심미성이 좋은 quartz fiber가 최적의 심미성을 위해 그 사용이 증가되고 있다.
섬유 강화 포스트의 장점으로는 주조 과정이 필요 없어 기공 술식이 간단하며, 레진과 파이버간의 접착력이 레진과 주조 금속간의 접착력보다 우수하고, 변색, 부식 등이 없어 금속 알러지가 있는 환자에게도 유용하게 사용 할 수 있다. 치질과 유사한 탄성계수로 인해, 좀처럼 치근 파절을 야기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금속보다 훨씬 심미적이다. 금속 포스트의 경우 치질에 어두운 색을 띄게 할 수 있어 투명성이 높은 세라믹 전장관으로 수복하는 경우 심미성을 저해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glass나 quartz 섬유 강화 포스트나 세라믹 포스트가 심미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하지만, 포스트의 선택은 수복될 치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