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정기춘 원장 성공경영 47]Making Dentistry Productive 생산적인 치과 만들기(18)

관리자 기자  2004.12.13 00:00:00

기사프린트


초진환자의 정보파악을 차별화하라

 

●첫 단추가 중요하다.
초진환자의 세심한 파악은 성공적인 치료계획을 위해서 채워야 할 중요한 첫 번째 단추이다. 환자가 무엇 때문에 내원했는지, 그리고 특별한 요구가 무엇인지 모두 알아낼 필요가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환자를 파악할 수 있는 각자 병원만의 양식과 서식이 필요하다.
문진표·예진표는 단순한 진료기록작성을 위한 수단뿐 아니라, 환자를 알기 위한 중요한 도구의 하나이다. 의료과오를 미연에 방지함과 함께, 진단과 처치방침을 확립하기 위한 도움도 된다. 또한 환자의 내원 목적과 과거 및 현재의 상태를 파악하거나 예후 및 치료 방침을 세우는 데 적극적으로 활용된다.

 

●구체적으로 파악해야 할 내용들을 준비한다.
  1)먼저 기본적인 고객 프로파일을 작성한다.
최소한 진료카드 작성에 필요한 항목으로써 내원 날짜 / 주소 / 성명 / 생년월일 / 보험의 종별 란을 작성해 둔다.
환자와 연락 가능한 전화, 휴대폰, 이메일 등을 기입한다.
단순히 집, 직장으로 적지 말고 환자 입장에서 연락 받기 편한 전화번호와 불편하지 않고 업무에 방해되지 않은 시간대등을 적는 것이 좋다.

  
2) 환자의 경향을 파악하는 내용을 빠짐없이 적도록 한다.
   c/c : Chief Complaint 및 환자의 comment
가장 먼저 내원한 동기와 주소를 파악한다.
아프다면 주로 아픈 부위 (아픈 부위가 여러 부위 일 때)
치과에 내원한 주 이유
가장 먼저 치료를 받기 원하는 부위
   PDH : Past Dental History
과거의 치과경험
최근 다른 치과 방문 경험과 진료 경험 등을 알아낸다.
   Special Needs
진료에 관한 희망 및 바라는 특별한 내용 등을 빠짐없이 알아낸다.
  소개자란을 설정하여 파악한다.
내원하는 환자의 경향을 알기 위해서 필요하다.
무엇을 원하는지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된다.
어떤 소개를 받고 내원하였는지 알아봄으로써 본원의 외부 평가를 파악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