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정기춘 원장 성공경영 (49)]Making Dentisty Productive/초진환자의 정보파악을 차별화하라(3)

관리자 기자  2004.12.27 00:00:00

기사프린트


초진 환자의 정보 파악은 성공적인 환자관리의 중요한 첫 단추이다.
따라서 치과의 문진표 및 예진표는 단순한 진료기록작성을 위한 수단뿐 아니라, 환자를 알기 위한 중요한 도구의 하나로 간주해야 한다. 따라서 적극적인 초기 응대를 통해 기본적인 고객 프로 파일 뿐만 아니라 환자의 경향을 세심하게 파악하여 주소(Chief Complaint)뿐만 아니라 환자의 과거의 치과 경험과 치료에 대한 가치관까지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번 호에서는 이러한 문진표 및 예진표의 작성안내 요령에 관해 알아보겠다.


중요한 사항은 각 항목을 확인하여, 다른 색 볼펜이나 형광펜으로 표시하거나 보충 기입한다.
전담 팀과 전담 직원이 한 환자를 계속 보조하고 팔로-업 하지 않을 경우 환자의 중요 정보는 팀 전체가 공유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중요한 사항은 따로 표시를 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치료할 때나 응대 할 때 고려 해야 할 환자의 병력이나 알러지등은 물론 치료 중 심리적 변화나 변화된 요구도 까지 메모를 해두어 담당 스텝이 바뀌거나 주치의가 치료 할 때 참조하도록 한다.

 

기타 파악할 사항들

 

1. 6개월 이상의 재진료인 경우 구환 이지만 신환응대처럼 변경된 사항과 요구도를 파악하고 수 개월 이내의 재 진료인 경우는 간단하게 변경 사항만 기입하도록 한다.
2. 큰 수술이나 장시간의 치료가 있을 때에는 당일의 전신상태와 혈압측정치 등을 반드시 체크하도록 한다.
3. 노인의 경우 주로 설문지 보다는 질문을 통해 파악하고 소아의 경우 보호자에게 참조할 사항을 파악한다.


4. 이외에도 쓰는 것을 귀찮아 하는 경우에는 직접 질문하고 기입한다. 쓰기를 싫어하는 경우 환자의 성향을 파악하는 데도 도움이 된다(단순히 귀찮은 것인지, 치료에 대한 적극성이나 협조도가 부족한지 파악)
5. 설문 할 경우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면 미 기입란이 있는 부분은 환자의 입장을 존중해서 넘어간다 단 전신건강 문제 같은 사항은 그 중요성을 알리고 다시 한 번 질문으로 확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