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아질 접착의 최신경향
복합레진 수복의 성패는 복합레진의 중합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중합수축과 이에 따른 응력에 의해 좌우되며 치질에 대한 효과적이고 내구성 있는 결합에 의존하고 있다. 법랑질에 대한 접착은 산부식을 통한 표면의 미세 다공성을 부여하고 접착성 단량체가 침투해 미세기계적으로 유지되므로서 임상적으로 신뢰할 만한 수준에 이르렀다. 그러나 상아질은 많은 유기질을 포함하는 상아세관의 미세구조와 광화 및 습윤의 정도에 따라 다양한 접착의 양태를 보이기 때문에 아직도 정확히 예측할 수 없는 구조로 남아있다. 상아질 표면의 전처리에 있어서 다양한 방법이 제시되고 있는데, 산부식에 의해 도말층 및 표층 무기질을 제거하고 탈회된 표면에 단량체 분자를 침투시키는 접착방식과, 기능성(산성) 단량체를 이용해 표층의 도말층을 녹이거나 변형시켜 직접 접착하는 방식이 일반적이다
상용되는 일부 접착시스템에서는 미세필러입자를 함입시켜 접착제의 물리적 성질을 향상시킬 뿐 아니라 변연계면에서의 마모에 대한 저항성을 부여하고 방사선 불투과성의 접착층을 형성해 보다 우수한 결합을 도모하기도 한다. 필러를 포함하는 접착제는 점도가 증가되고 이 결과 두꺼운 접착제층을 형성해 복합레진의 중합 또는 기능시에 발생되는 내부 또는 외부응력을 분산하고 흡수(stress absorbor)할 수 있는 역할을 한다. 접착제를 포함한 모든 레진은 표층에 형성되는 산화막(oxygen inhibition layer)으로 인해 10∼20㎛의 미중합층이 형성되기 때문에 접착제가 얇게 도포되는 경우에는 불완전한 중합이 이뤄지게 된다. 반면, 필러를 함유한 접착제는 두껍게 도포돼 광중합에 필요한 두께를 가지므로서 혼성층의 중합이 가능해진다. 그러나 높은 점도로 인해 접착제내에 함유된 휘발성 용매의 완전한 제거가 어렵고 방사선 불투과성은 있으나 진단에 필요한 정도가 되지는 못한다. 만일 필러가 교원섬유 사이로 충분히 침투한다면 혼성층의 인장강도를 증가시켜 강한 결합을 유지하지만 최근의 연구에 의하면 미세 필러(nano-sized filler, 0.02㎛)는 이 공간에 침투하지 못하고 응집돼 있거나 덩어리로 남아 있는 경우가 많다고 보고되고 있다.
이에 본 연제에서는 현재 상용되고 있는 수많은 종류의 접착제를 분류하고 각각의 특징을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복합레진과 접착제의 호환성에 대해 살펴보고 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