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정기춘 원장 성공경영 (50)]Making Dentisty Productive/생산적인 치과 만들기(18)

관리자 기자  2004.12.30 00:00:00

기사프린트

초진환자의 정보파악을 차별화하라(4) 보험카드에서 추가 정보를 파악하자

의료 보험증은 문진, 예진표와 함께 환자에 관한 정보를 제공해 준다.
의료 보험증이 단순히 환자의 인적 사항만을 나타내는 신분증의 기능을 벗어나서 환자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주는 좋은 수단으로 활용된다면 가치 있을 것이다. 환자 본인의 정보는 물론 가족사항과 치과 기왕력 등을 알아 볼 수 있는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단순히 챠트에 필요사항만 옮겨 적을 것이 아니라 추가로 도움이 되는 정보를 체크하여 고객 파악에 도움이 되게 하면 좋을 것이다. 단, 환자가 불쾌하지 않도록 읽어내는 센스가 필요하다.

 

보험증의 추가 정보 체크포인트

 

1. 환자의 인적 사항과 직업을 파악 할 수 있다.
자격 취득일로 직장 이동 및 이사를 파악할 수 있다.
사업소의 명칭이나 소재지와 본인의 주소 등으로부터 직업을 파악할 수 있다.

2. 가족 사항 및 인적 사항을 파악하여 고객 관리에 활용한다.
가족구성을 파악한다.
생년월일 및 생일을 파악하여 고객 관리에 활용한다.

3. 요양기관 기록란으로 일반병력을 파악할 수 있다
치과 치료에 참조가 될 만 한 질병이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다른 치료를 받고 있다면 어느 병원을 다니고 있는지, 어떤 치료를 하고 있는지 파악할 수 있다. 단, 환자의 프라이버시를 존중해서 파악해야 한다.

 

4. 요양기관 기록란에 치과경력이 있다면 파악할 필요가 있다.
치과를 옮겨 다닌 기록이 많다면 그 이유가 무엇인지 파악하여 상담이나 치료에 참조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다른 치과의 기록이 있는 경우 더 나은 치료를 받기 위해 병원을 새롭게 선택했는지 혹은 통증이나 서비스 불쾌 등의 이유로 이전했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만약 어떤 치료를 받더라도 불만을 느껴 병원을 옮기거나 견적을 비교하는 쇼핑 환자라면 반드시 파악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또한 가족이 각각 별도의 치과의원에 다니고 있다면 환자나 가족의 치과에 대한 태도나 생각 등을 알 수 있고 환자의 비교 만족도 등을 파악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