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특별임상강좌/심미접착치과특강]대주제:심미수복의현주소/구치부의 직접수복

관리자 기자  2005.01.03 00:00:00

기사프린트

 

 

구치부 복합레진 수복시 고려할 사항

 

 

Configuration factor (C factor)란 무엇인가?
전치부에서는 별 문제 없이 해오던 복합레진이 왜 구치부에서는 여러 문제를 잘 일으키는 걸까? 이것에 대한 대답을 얻기 위해서는 먼저 c factor 라는 개념을 이해해야 된다.
C factor란 접착된 면적과 접착되지 않은 면적(free surface)의 면적비를 말한다.
예를 들면 각 면의 면적이 동일한 정6면체에서, 한쪽 면은 접착이 돼 있고, 다른 5개의 면이 접착이 돼 있지 않다면 C factor는 1/5 = 0.2 가 된다.

 

복합레진은 와동에 접착의 과정을 통해 충전하게 된다. 접착의 과정을 통해 와동에 충전되는 복합레진의 면을 C factor라는 개념을 통해 살펴보면, 전치부의 경우는 대부분의 임상 case가 C factor가 낮은 경우가 많고 구치부는 c factor가 높은 경우가 주로 나타난다.(그림 1)

복합레진은 결국 중합수축을 하기 때문에 C factor가 높은 구치부 수복의 경우, 중합수축의 stress가 전치부에 비해 와동에 더 많이 가해지게 되고, 이러한 것은 교두변위, crack, 미세변연누출, internal/external adapatation의 저하 등의 현상을 가져 오게 돼 이러한 것들이 단독적으로 또는 복합적으로 나타나서 시술 후의 여러가지 후유증을 유발할 수 있다.

 

 

임상적 고려사항

인접면 접촉, 마모, microleakage, 그리고 Hypersensitivity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1. 인접면 접촉
복합레진은 아말감에 비해 condensation 하기가 어렵다. 그래서 2급 와동 구치부에 적절한 인접면 접촉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특별한 고려가 필요하다.

 

A. Bitine ring의 사용
마치 clamp와 같이 생겼으며 치아와 치아 사이에 위치 시키면 spring 작용에 의해 치아를 이개 시킨다. 치아를 삭제하기 전에 미리 위치시켜서, 10분 이상의 충분한 시간동안 치아에 힘을 가하도록 한다. 치아 삭제가 완성되면, bitine ring을 일 단 빼낸 후, matrix band (sectional matrix)와 wedge를 장착시킨 후, 다시 위치 시킨다. Bitine ring을 재 위치시킬 경우에 wedge 등이 방해가 되면 wedge 를 꺽어 준다.(그림 2)

 

B. Pre-wedging technique
Bitine ring 등의 기구가 갖춰져 있지 않을 경우에는, wedge를 이용해 비슷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Wedge를 치아를 삭제하기 전에 미리 위치시켜서, 15분 이상의 충분한 시간동안 치아에 힘을 가하도록 한다. 하나의 wedge로 부족하면 2개 이상을 밀어 넣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