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시민 노동단체 교류방안 모색 필요” 치과특성 등 전달…주요인사 만남 추진

관리자 기자  2005.01.10 00:00:00

기사프린트

 

정 협회장 밝혀


치협이 노동 시민단체와 가까워지는 방안을 모색하게 된다.
정재규 협회장은 지난 3일 대한 약사회 신년교례회에 참석하기 앞서 기자와 만나 “시민단체가 정부·국회·언론에 버금가는 사실상 권력 기관으로 성장한 것은 부인 할 수 없고 앞으로도 영향력 확대가 예상된다” 면서 “치과의사와 치과의료의 특성을 이들 단체나 개인에게 정확하게 전달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정 협회장은 또 “이같이 시민 노동단체와 대화하려는 노력을 끊임없이 전개한다면 치과의료의 특성을 무시한 그릇된 정책 건의는 많이 사라지거나 완화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정 협회장은 일단 사회적으로 영향력이 큰 건강관련 시민단체들의 싱크뱅크 역할을 하는 학자 출신들이나 시민단체장들의 면담을 추진하고 이후 협회장에 재선되면 치협 내에 시민단체 전담조직 구성도 고려 중이다.


이 같은 정 협회장의 현실인식은 과거 ‘국민의 정부’ 시절부터 시민단체들이 더욱 급성장, 현재 이들이 주장하는 정책들이 정부정책에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사실 지난해 치과계 광풍으로 몰아닥쳤던 레진·노인틀니 급여화 추진 바람도 건강관련 시민단체들의 정책 대안과 무관하지 않다.
아울러 현재 17대 국회의원들 상당수도 시민단체나 노동계, 전대협 등 과거 진보운동을 했던 인사들로 채워져 있어 의원들이 추진하는 여러 정책들 중에는 시민단체 주장과 유사한 정책이 나오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같은 상황임에도 불구 현재 치협은 시민단체와의 연결고리가 아직 형성돼 있지 못하다.
한편 시민단체에 참여하고 있는 일부 치과의사들은 ▲ 치협이 시민단체 참여 치의를 발굴해 네트워크화 하고 ▲치협 산하에 시민단체 전담 특별위원회 또는 공식위원회를 신설해 이들과 지속적인 대화에 나서야한다는 충고다.
박동운 기자 dongwoon@kda.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