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치부 간접수복
복합레진 인레이 기법의 이론적 배경
복합레진을 광중합 시킨 후에 부가적으로 열중합을 시키면 여러 가지 물리적인 성질이 증가한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복합레진을 이용한 인레이 온레이 등의 제작을 통해 복합레진을 이용해 구치부 수복을 할 경우에 발생하는 문제점 등을 보완하고자 하는 노력이 진행돼 왔다. 복합레진을 치아에 직접 충전하는 방법에 비해 레진 인레이 기법을 사용할 경우 다음과 같은 장점을 얻을 수 있다.
1. 복합레진의 중합률을 높임으로서 더욱 향상된 물리적인 성질을 얻을 수 있다. 복합레진을 광중합 시킨 후 부가적으로 열중합을 시키면 재료에 따라서 3∼20%의 중합률이 높아지며 (그림 1) 이는 재료의 물리적인 성질을 높이는 데 기여 한다. 하지만 재료자체의 탄성률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복합레진의 물리적인 성질이 향상돼야 하며, 이러한 면에서, 인레이 기법을 사용할 경우에는 이에 적합한 복합레진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2. 복합레진의 중합수축에서 오는 치아에 대한 stress 를 줄여줄 수 있다. 인레이 기법을 이용하는 경우 대부분의 중합 수축이 기공과정에서 이루어 지며, 레진 시멘트에 의한 중합수축만이 구강 내에서 이루어 지기 때문에, 중합 수축에 의해 생기는 치아에 대한 stress 가 더 적다.(그림 2)
3. 인접면 접촉을 포함한 해부학적인 형태를 더욱 바람직하게 형성할 수 있다.
모든 복합레진은 열처리를 받으면 부가적인 중합이 일어나나, 그 정도는 재료에 따라 다른다. 혹자는 열중합 후 중합률이 많이 놓아지는 것이 적절한 재료라고 생각할 지 모르지만, 이럴 경우 중합률은 올라가지만, 수축률이 너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