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옥 교수
■학력
경희의대 졸업
경희의대 마취과학박사
■경력
현 경희의대 마취통증의학과 교수
대한치과마취과학회 간행이사
진정법 중 환자감시
감시(monitoring)란 용어는 라틴어의 ‘monere"에서 유래한 것으로 어떤 목적을 위해 주시(watch), 관찰(observe)하고 경고(warn)하는 것을 의미한다. 환자감시의 목적은 환자의 생리학적 변수(physiological variables)를 측정해 변화의 경향을 파악하고 위험을 초래할 수 있는 상태를 미리 예방해 치료방침을 결정하려는 것이다.
정주진정법은 물론 흡입 또는 경구진정법을 시행할 경우에도 환자감시는 필수적인 요소이다. 적절한 감시가 이뤄지고 임상적인 판단이 올바를 때 환자의 안전은 향상될 수 있으며, 효과적인 감시는 심각하고 비가역적인 손상을 초래하기 전에 이상 소견을 감지해 나쁜 결과가 발생할 수 있는 가능성을 줄이게 된다.
최근 수년간에 걸쳐 소아치과 영역과 임프란트 시술 등의 증가로 치과 외래에서의 진정법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현실에서 진정법 시의 환자감시에 대한 이해는 절실하다고 하겠다. 특히 치과 영역에서 소아 및 고령 환자의 증가, 당뇨, 고혈압, 심장질환 등 성인성 질환을 동반하는 환자에 대한 시술, 외래 시술 범위의 확대 등은 환자감시의 필요성을 더욱 크게 인식하게 한다.
환자감시에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첫째는 시술자의 감각, 즉 촉각, 청각, 시각, 후각 등을 통한 질적인 감시가 있고 둘째는 기계장치를 이용해 지속적 또는 간헐적으로 특정한 측정을 함으로써 질적으로뿐만 아니라 양적으로 환자를 평가하는 것이다.
1. 대화와 관찰
세심하고 잘 훈련된 시술자는 진정법 시행 시에 가장 중요한 생체 감시자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그 효과는 정성적이고 정량적인 감시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증대될 수 있다. 시술자가 지속적으로 구두 자극에 대한 환자의 반응을 평가하는 것은 진정의 정도를 효과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중요하며, 신경학적인 그리고 심폐계 이상을 조기에 파악하게 해준다. 생리학적 기능의 지속적인 시각, 촉각, 청각적인 평가에는 환자의 움직임, 피부 색깔의 변화 및 발한, 호흡의 횟수, 깊이, 양상 등의 관찰, 맥박의 촉지, 눈물, 수술 부위의 출혈, 사지의 체온과 모세혈관 보충(refill)에 의한 말초관류 평가, 신경학적 상태의 급성 변화 등을 지속적으로 살펴보아야 한다.
2. 심혈관계 감시
진정법 시에 심혈관계 감시로 심음, 심박수, 동맥혈압 측정 및 심전도 등을 시행하는 것을 추천한다.
1) 심박수 및 심음
정상 성인의 심박수는 약 70∼80회/분이며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 심박수는 정상 환자의 경우 요골동맥, 상완동맥 등에서 쉽게 촉지할 수 있으나 여러 원인으로 심혈관계 허탈이 발생한 경우에는 촉지가 어려울 수 있다. 전흉부 청진기(precordial stethoscope)는 심박수는 물론 심음의 변화도 감지할 수 있기 때문에 순환혈액량의 변화, 심근수축상태, 부정맥 및 심잡음의 발생을 알 수 있으며 호흡음의 변화도 들을 수 있어서 환기에 대한 지속적 감시도 할 수 있다. 지속적인 전흉부 청진은 값싸고, 효과적이며 무해한 작업으로 시술자가 환자에게 더 가까이 가도록 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