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치대 임상교육 내실화 위해 “국립대 치과병원 독립 급선무”

관리자 기자  2005.03.10 00:00:00

기사프린트


최재갑 교수 강조


치과대학 임상교육의 내실을 기하기 위해서는 국립대치과병원 독립이 ‘급선무’라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최재갑 국립대치과병원 독립을 위한 T/F팀 팀장은 지난 3일 열린 T/F팀 회의에서 “치대나 의대가 있는 곳에 대학병원이 개설되도록 법적으로 정해진 것은 치대나 의대 학생들의 임상교육에 보다 내실을 기하기 위한 취지에서다. 그러나 현재 국립대치과병원인 경우 의과병원의 부속기관으로 개설돼 있기 때문에 치대 임상교육 내실화의 기회를 박탈당하고 있다”고 주장, 치과병원 독립의 필요성을 적극 피력했다.


의대의 임상교육이 교수들의 진단 과정을 ‘관찰’하는 위주라면 치대의 임상교육은 학생들이 직접 진료에 투입되는 실제 ‘진료’ 과정이기 때문에 임상교육 시스템 자체가 달라 치대 학생들의 임상교육에 내실을 기하기 위해서는 이와 관련한 별도의 병원 시스템이 구축 돼야한다는 것.
그러나 치과병원인 경우 의과병원에 부속돼 있어 관련 지원에서 밀리고 있다는 것이 최 팀장의 설명이다.


최 팀장은 “실제로 현장에서 치대 학생들의 임상교육 내실화를 위해 진료시스템과 행정 및 예산적인 지원을 병원장에게 요청해 봤지만 병원장 자체가 의대 출신이기 때문에 이해부족으로 인해 관련 지원에 대해 ‘소극적’이거나 아예 ‘무관심’한 경우가 대다수였다”고 토로했다.
이러한 불이익은 교수 채용 과정서도 예외가 아니다.


최 팀장은 “경북대 의대와 치대의 입학정원은 각각 120명과 60명으로 2:1비율임에도 의대 교수와 치대 교수는 각각 150명, 42명 선으로 치대 교수가 훨씬 부족, 교수 배정 비율이 불합리 하다. 특히 병원 예산으로 뽑는 기금 혹은 계약 등 임상교수는 전체 59명(기금34, 계약 25)에 달하나 이중 치대 임상교수는 단 한명도 없는 실정”이라며 의과병원 산하에서 치과병원 및 대학이 받는 불합리성을 피력했다.
이러한 사정은 부산, 전남, 전북대 역시 마찬가지로 대부분의 국립대치과병원인 경우 병원 예산으로 채용되는 임상 교수가 아예 없거나 1명 정도 있는 선으로 의대병원의 임상교수 채용에는 턱없이 못 미치는 수치다.


최 팀장은 또 “병원의 중장기적 발전을 꾀하는 기획부서 자체가 의대병원 산하에 구성돼 있어 국립대치과병원들인 경우 중장기적인 발전 계획을 구상할 기회마저 박탈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최 팀장은 특히 “과거 치과병원들이 독립을 요구했을 당시 교육부는 치과병원이 적자상황을 면치 못하고 있기 때문에 독립을 시켜 줄 수 없다고 주장 했었다. 그런데 10여년이 지난 지금은 대부분의 치과대학병원이 흑자를 내고 있음에도 불구 여전히 독립을 불허 하고 있어 교육부가 ‘직무유기’를 하고 있다”며 “치과대학의 내실화를 위해서라도 국립대치과병원의 독립이 반드시 이뤄져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강은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