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의대·치대·한의대 대학원 석박사 학위 돈거래 의혹 사실로 드러나

관리자 기자  2005.03.24 00:00:00

기사프린트

전주지검


일부 의대, 치대, 한의대 대학원들이 돈으로 석·박사 학위를 거래하고 있다는 의혹이 사실로 드러났다.
전주지검은 지난 21일 일부 개원의들이 수업이나 실험에 참석하지 않고 논문도 쓰지 않는 대신 교수들에게 5백만원에서 2천여만원씩을 주고 석·박사 학위를 취득한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검찰은 받은 돈의 액수가 크거나 돈을 사적으로 유용한 교수 5~6명에 대해서는 사전구속영장을 청구하고 나머지 수수액이 적은 교수와 개업의 수십명에 대해서는 불구속 및 약식 기소할 방침이다.


검찰은 지난 1월부터 전북대, 원광대 등 전주지역 의대, 치대, 한의대 대학원으로부터 최근 5년간 석·박사 학위 취득자 명단과 수업 및 실습 출석부 등을 넘겨받은 가운데 해당 교수들의 계좌에 대한 압수수색을 한 뒤 이들을 소환, 조사를 벌였다.
그 결과 원광대 한의대와 의대, 전북대 의대와 치대, 우석대 한의대 교수 중 일부가 수천에서 많게는 2억원이 넘는 금품을 받고 학위장사를 한 것으로 드러났다.
검찰에 따르면 개원의들은 학기 초 학급 반장에게 돈을 걷어 주었으며, 반장은 이를 실습비와 논문 대행비 명목으로 교수들에게 넘겨준 것으로 드러났다.
또 돈을 받은 교수들은 그 돈의 일부를 실험 담당 교수들에게 주고 실험 대행을 부탁했으며 학위 논문은 서울 등 타지역 교수나 대행업체에 의뢰해 학위 취득자들에게 넘겨준 것으로 밝혀졌다.
검찰은 이처럼 학위 불법거래가 묵인돼온 것은 학위를 내세운 과시나 환자의 신뢰를 추구하는 개원의와 실험비 부족에 시달리는 교수 사이의 이해관계가 맞아 떨어졌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고 설명했다.


한편 이번 사법처리와 관련 의료계에선 “정도가 지나친 부분에 대해서는 마땅히 처벌을 해야 한다”면서도 “실험비 부족 등에 시달릴 수밖에 없는 대학의 구조적인 문제에도 근본 원인이 있는 만큼 이에 대한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는 반응이다.
강은정 기자 human@kda.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