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 성인치과임상연구회 연수회
이제는 보편적인 치과치료의 한 방법으로 자리잡은 임플란트 시술을 성공적으로 이루어내기 위해서는 다양한 분야의 많은 지식과 임상경험을 필요로 하게 된다. 전체적인 치료계획과 보철치료가 완벽하게 준비되어 있다 하여도 임플란트를 직접 식립하고 주변 잇몸과 연조직에 대한 처치가 원만하지 못하면 실패하는 것이 임플란트 치료이다. 따라서 임플란트의 성공적인 시술을 위한 치주조직의 이해 및 연조직과 경조직의 management가 매우 중요하다고 할 것이다.
자연치아나 임플란트 모두 하방의 치조골에서부터 잇몸을 뚫고 나오는 transmucosal device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치아와 임플란트를 둘러싸고 있는 잇몸에 대한 이해가 무엇보다도 중요하고, soft tissue management능력을 향상시킴으로써 한층 성공적인 임플란트 치료가 이루어 질 수 있다. 치주조직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개념이 임플란트 치료에서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싶다. 본 연수회에서는 치주치료 개념과 함께 성공적인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경조직 및 연조직 처치 방법을 소개함으로써 실제 임상에서 보다 자신감있고 안정적인 시술을 도모하고자 한다.
연수회에서는 첫째, 상실된 골조직을 어떻게 재생할 수 있는지, 골이식 재료는 무엇을 사용하여야 할지, 또 언제 골조직을 이식해야 하는 지 등에 관한 hard tissue management에 관해 발표하게 된다. flap management방법, 그리고 alveolar bone architecture, osteoplasty와 ostectomy의 방법을 활용하여 골조직 채취 및 이식 방법 등을 소개한다. 두번째로 강조할 부분은 연조직 처치 방법이다. 잇몸에는 각화치은과 각화층이 발달되지 않는 치주점막으로 크게 나누어 볼 수 있다. 치아에서 세균에 대한 일차적 방어역할을 하는 부분이 바로 각화치은이다.
이는 치아주위를 단단히 붙잡고 있으며, 적절한 seal을 제공하여 치아가 건강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임플란트에서도 마찬가지로 건강한 부착치은을 만들어줌으로써 임플란트의 장기적인 성공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부착치은을 얻기 위한 free gingival graft, connective tissue graft 등의 mucogingival surgery의 기본기와 술식을 실습하게 된다. 또한 골조직 이식 후 연조직의 처치 방법을 충분히 연습하여, 골이식 후 긴장이 없는 충분한 연조직의 확장 및 적절한 봉합술 등을 소개하여 원만한 치유과정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이를 위한 다양한 flap management와 봉합 방법을 살펴보고 적절한 적응증을 찾아나가는 과정이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세번째로 다루게 될 부분은 상악동 거상술, osteotome을 이용한 상악구치부의 임플란트 식립 등 약한 골조직에서의 management방법들을 소개하고자 한다.
이상과 같이 치주치료의 기본 개념을 잘 이해하고 골조직과 연조직 처치 방법을 습득한다면, 성공적인 임플란트 치료가 이루어지리라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