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협회가 최근 한국 의료일원화 문제를 주요 이슈로 부각시키고 있는 가운데 의료일원화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공감하지만 우선 협진이나 교육교류 등 실질적으로 실천할 수 있는 부분부터 접근하자는 주장이 제기됐다.
의협 의료정책연구소가 지난 16일 의협 동아홀에서 개최한 ‘한국의료 일원화의 쟁점과 정책방안’을 주제로한 심포지엄에는 의료계, 학계, 시민단체 등에서 참석해 접근방법론에 대한 좋은 의견들이 쏟아졌다.
조병희 서울대 보건대학원 교수(의료사회학)는 ‘우리나라 의·한방 통합의 과정과 전망’을 주제로한 발표에서 “의사회가 진정으로 일원화를 원한다면 조용하게 협진을 위한 모듈 개발이나 상호 상대방 의학을 이해하기 위한 인적·교육적 교류를 실천하는 것이 더 필요한 시점”이라고 지적했다.
조 교수는 또 “일원화를 위한 논의 수준을 낮추되 실천적인 논의를 하자는 것”이라며 “의학과 한의학의 연속성을 인정하면서 다른 한편 한의학을 한의학답게 만드는 일에 협력하자”고 제안했다.
권용진 의협 사회참여이사는 ‘한국의료 일원화의 필요성과 추진방향’이라는 주제발표를 통해 “한국의료 일원화는 논의과정에서 난관이 존재하더라도 추진돼야 한다”며 “국민건강의 질을 높이는 관점에서 적극적으로 추진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권 이사는 ▲의료계 한의계가 모두 참여하는 정부차원의 추진기구 구성 ▲한약의 부작용 조사와 연구 지속 추진 ▲한약재의 표준화를 위한 정책 대안 마련 ▲의료일원화의 필요성을 적극 홍보하는 방향으로 추진해야 한다고 덧붙혔다.
지정토론에서 조재국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위원은 “의료일원화는 단기적으로 해결될 문제가 아니다”라며 “복수 면허자에 대한 양쪽 진료 허용을 통해 기반을 마련하고, 복수면허자를 중심으로 위원회를 구성해 치료시기·방법·비용 등에 대한 교통정리부터 하자”고 밝혔다.
이성재 보완대체의학회 이사장은 “일원화는 힘의 논리가 아니라 한의사와 의사의 공감대를 형성하는데서 출발해야 한다”며 “동서통합의학대학·동서통합의학연구소를 시범 운영하고, 한의사와 의사가 함께 참여해 공유할 수 있는 보완대체의학을 통해 선행적인 준비과정을 거친 후 일원화를 준비해야 환자 중심의 일원화는 물론 국제적인 경쟁력도 가질 수 있다”고 주장했다.
한상율 대한개원의협의회 범의료한방대책위원회 위원은 “일원화의 중심은 국민에게 최선의 의료를 제공해야 한다는 것에서 출발해야 한다”며 “어떤 것이 옳고, 좋은 방법인지 판결할 수 있는 최선의 근거를 마련해 나가는 것부터 시작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윤복 기자 bok@kda.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