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세미나포커스/허성주 학술이사]보철학회 춘계학술대회/Biomechanical and Biochemical bonding of implant surface

관리자 기자  2005.05.09 00:00:00

기사프린트

Biomechanical and Biochemical bonding of implant surface
보철학회 춘계학술대회


대한치과보철학회 2005년 춘계학술대회에 해외 연자로 초청된 Albrektsson 교수는 과거의 implant에 대한 고찰로 시작하여, 시판되는 새로운 implant 사용의 안전성을 위해 최소 1년의 정확한 임상 연구가 기반이 되어야 할 것이라고 하면서 시종일관 신빙성 있는 임상 연구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의미 있는 임상 연구가 갖추어야 할 조건으로 다음과 같은 사항을 언급했다.

 

♠ 좋은 임상 보고
▶prospective randomized controlled clinical study
▶consecutive implants
▶inclusion/exclusion criteria
▶dropout report
▶bone height data
▶routines at recalls

또한 현재 시장 점유율 측면에서 주요 implant라고 여겨지는 5가지 implant(Tiunite, Tioblast(Astra), Osseotite(3i), SLA(ITI), Dsply)의 성공률 및 그 표면처리 효과에 대한 허와 실을 Albrektsson Zarb 4 field table를 이용, 논문의 신빙성과 함께 논의했다.

♠ Albrektsson Zarb 4 field table: 한눈에 implant outcome 평가 가능
▶Ss(match criteria for success)
▶Sl(survival, implant still inserted)
▶U(unaccounted for)
▶F(mach criteria for failure)
이들 Implant 표면에서 주목해야 할 사항에는 다음과 같은 성질이 있는데,
▶Mechanical property(corrosion, wear)
▶Topographic property(surface roughness, orientation)
▶Physical property(surface energy, chemical properties)


여러 연구 결과 moderately rough surface(0.1<Sa ≤0.2 um)에서 bone response가 가장 좋았다고 했다. 그러나 단순한 surface roughness외에 physical property의 중요성에 대해 설명하면서 현재 시판되는 대부분의 implant에서 osseointegration을 형성하는 biomechanical bonding 외에 biochemical bonding(bioactive surface: electrostatic, ionic bonds가 계면에 작용해 implant를 고정시킴)의 근거에 대한 다양한 이론을 설명하고, 여러 표면 처리 중 HA의 일부 type, chemically altered Titanium type(anodized, NaOH & heated, fluoridated) 등에서 biochemical bonding의 가능성이 있으나, 이들 중 새로운 Astra tech.의 Osseospeed surface (fluoridated surface)의 잠재성이 높음을 암시하였다.


이와 함께 현재 implant 제조회사 및 임상가가 주목하는 hardware(biocompatibility, implant design, implant surface의 중요성)과 함께 software(surgical and prosthodontic technique)의 향상이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했다.
이어 retrieved clinical oral implants를 대상으로 한 다양한 조직학적 연구 결과에 대해 언급하고, 마지막으로는 implant stability를 측정하는 방법에서, Ostell(RFA(ISQ value)의 발전 과정과 임상적용의 정확성, 재현성 및 그 유용성에 대해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