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단체 16일부터
인터넷, 중앙일간지, 무가지 등에 무차별 살포되고 있는 허위·과대 의료광고에 대한 집중적인 실태조사가 이뤄진다.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소속 시민단체들은 최근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의뢰를 받아 오는 16일부터 서울지역을 대상으로 30명의 요원을 투입, 본격적인 ‘의료광고 실태조사"에 착수한다고 밝혔다.
시민단체 관계자에 따르면 이번 실태조사는 의료광고의 위법성 여부보다는 의료광고의 종류 및 내용에 대한 실태조사에 중점을 두고 있지만 실태조사 후 취합한 자료를 바탕으로 불법성 여부를 따지게 될 수 있다고 밝혀 이번 조사가 단순한 실태조사로만 끝나지 않을 것임을 시사했다.
실태조사는 먼저 7개 중앙일간지와 4개 스포츠신문을 대상으로 5월분을 분석하고, 기사형태로 병·의원 및 의료인을 간접 광고하는 내용을 집중 모니터링 하게 된다.
또 지하철역에서 우후죽순으로 살포되는 3개 종류의 무가지와 비만치료제, 성형수술 등의 광고가 많이 게재된 7개 종류의 여성지 등에 대한 실태조사도 병행하게 된다.
아울러 지하철역 구내에는 환승역보다는 주거지역 인근 역사에 의료광고가 많은 것으로 판단, 16개 지하철역을 선정해 조사를 진행하게 되며 지하철내 의료광고에 대해서는 8개 호선을 대상으로 1개 호선에 2개 객차의 액자간판을 조사하는 방법으로 진행된다.
특히 인터넷에서 행해지는 의료광고 행태를 분석하기 위해 100개 다빈도 사이트를 집중 조사할 계획이다.
병·의원의 표지간판에 대해서는 서울지역 25개 구에 총 250개 의료기관(구당 10개)을 대상으로 의료기기 및 검사항목 등의 표시와 크기, 내용에 대해서도 실태를 조사한다.
시민단체들은 6월까지 실태조사를 진행한 뒤 조사결과를 발표할 방침이며, 이를 토대로 전문가들과 함께 광고의 위법성 문제와 개선방향을 짚어본다는 계획이다.
강은정 기자 human@kda.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