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방으로 구강병 개선 노력·실천 중요한 시점”
“우리나라 12세 아동의 평균 충치 경험 영구치 수는 71~73년 0.6개에서 76년 2.3개, 91년 3.03개, 92년 3.1개로 해마다 늘고 있습니다. 영구치 충치 경험율도 1세 아동이 55%나 되고 35-44세 83.3%, 65-74세에는 98%에 달해 우리나라는 OECD 국가 중 가장 많은 충치를 가진 나라라는 불명예를 안고 있는 실정입니다.”
이번 심포지엄을 주최한 송학선 충치예방연구회 회장은 “우리나라 구강 건강이 해마다 나빠지고 있음에도 불구, 예방중심의 사업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며 “민, 관, 기업이 각 분야별 예방사업에 대한 노력과 실천이 중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송 회장은 특히 “우리국민 한 사람이 평균 3개 이상의 영구치에 충치를 가지고 있으며 영구치에 충치가 있는 사람은 대도시 인구의 무려 75%나 된다. 서울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의 절반 이상이 완전 틀니가 필요한 상태다”며 국민 구강건강의 심각성을 설명했다.
송 회장은 또 “구강병 중에서도 발생 빈도가 높고 치아 기능 장애의 주요 원인이 되는 질병은 충치와 잇몸병이며 우리나라 사람이 치아를 상실하게 되는 원인 중 87.6%가 충치 때문이다. 그러나 일부 지방정부의 무관심과 불소 농도 조정 사업을 반대하는 집단 때문에 충치 예방의 길은 요원하기만 하다”고 개탄했다.
송 회장은 “구강 건강 악화는 삶의 질 저하와 불가분의 관계에 있을 뿐 아니라 경제적 손실도 만만치 않다. 치과 관련 진료비는 가정 경제에도 무시하기 어려운 손실 요인이다. 90년 대비 2000년에는 240% 이상 증가했다는 의료보험 급여 통계를 통해서도 알 수 있듯이 구강병 때문에 지불되는 금액은 감당하기 어려울 만큼 커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송 회장은 아울러 “구강병은 예방을 통해서 얼마든지 개선될 수있다. 각계각층의 참여가 클수록 예방 사업 비용은 절감되고 효과는 배가될 수있다”고 주장하면서 “이제 국민 구강 건강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의료계와 민간, 기업, 정부 등이 국민 치아 수명을 연장하기 위해 함께 노력해야 할 때”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강은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