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임상강좌(3)치의신보,구순구개열학회 공동기획]대주제:구순개열 환자의 일관치료

관리자 기자  2005.05.12 00:00:00

기사프린트

 

 

구개열 언어와 인두피판 성형술

●신효근 교수

■학력
서울치대 졸업
서울치대 석사·박사

■경력
일본 동경치대 구강외과 객원교수
한국음성과학회 회장
전북치대 학장
일본 동경대학 의학부 및 북해도 치대 치학부 객원교수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 회장
대한악안면성형재건외과학회 회장
현) 전북치대 교수

 

구개열 환자를 적절한 시기에 수술을 하고, 또한 수술기법이 발달돼 대부분의 증례에서는 수술 후 정상적인 언어를 구사할 수 있으나 10∼20%의 증례에서는 비인강폐쇄부전을 보여 특징적인 언어장애를 나타낼 수 있으며 이를 구개열언어(cleft palate speech)라 부른다.

 

 

1. 구개열언어

구개열언어는 비인강폐쇄부전에 의한 모음의 과비음(hypernasality)으로 나타나고 자음이 왜곡(약음화, 비음화)되는 현상과 또한 자음의 조음이상(articulation disorder)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정상적인 발음을 위해서는 구강내압이 형성돼야 하고 일정량의 구강내 기류가 필요한데 이를 위해서는 구강과 비강을 분리하는 비인강폐쇄(velopharyngeal closure)가 이뤄져야 한다.
비인강폐쇄부전(velopharyngeal incompetence, 이하 VPI)을 가진 구개열 환자에서는 기능부전상태에서 말을 배우기 때문에 특유의 이상 조음이 나타나게 된다.

 

 

구개열 언어의 특징으로는
1. 성문파열음 : 비강으로 공기가 새어나가 구강내압이 낮아진 것이 원인이며 구강압력을 높이기 위해 보상적으로 성대를 강하게 긴장시켜 발음해 나타난다. 힘주 어 소리를 내는 듯 들리는 것이 특징이다.
2. 인두파찰음 : 설근과 인두후벽이 접근돼 나는 소리로 /s/, /?/ 발음시 /h/로 들리는 현상
3. 인두파열음 : /k/, /g/ 발음 시 보상성으로 나오는 현상으로 설근이 후방으로 이동해  인두후벽과의 폐쇄로 생성된다.
4. 비음화 : 구강내압이 부족해 나타나는 현상으로 발음이 왜곡되거나 /b/가 /m/으로 /d/가 /n/으로 대치된다.
5. 생략 : 파찰음, 마찰음 등에서 생략이 되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2. 비인강폐쇄기능의 평가

비인강폐쇄 기능의 평가는 검사자의 주관에 의한 평가와 여러 가지 기기를 이용하는 객관적 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