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협을 중심으로 의약 5개 단체가 공공통신서비스 요금체계 개편에 따른 적극적인 공동 대처 방안이 논의했다.
요양기관정보화지원협의회는 지난 11일 심평원 회의실에서 박규현 전 정보통신이사 등 의약단체 정보 통신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2차 회의를 가졌다.
이날 회의에서 참석자들은 2006년부터 공공기관 통신서비스에 정부보조금 30%가 지원되지 않게 됨에 따라 의료기관 년간 요금 76억원, 심평원 5억 4천만원에서 30%이상의 추가 요금 부담이 예상되는 것으로 결론 내렸다.
이에 따라 심평원과 치협을 비롯한 의약5단체가 공동으로 요금 체계 관련 연구용역를 실시하는 것을 검토, 각 단체가 용역비인 3천만원을 부담하는 방안이 논의됐다.
치협은 연구 용역비 중 3백만원을 부담하는 것과, 특정 서비스 사를 선택, 요금 할인을 대폭 받을 수 있는 방안을 적극 검토키로 했다.
공공기관 통신서비스 요금이란 EDI나 ADSL 등의 요금은 해당되지 않으며 전국 7만개 의료 기관 중 800개 의료기관에서 이용중인 네트워크 통신, 원격진료 등으로 대형병원에서 주로 사용하고 있는 전용망을 말한다.
또 ‘국내 요양기관 종별 정보화 실태 공동조사 연구진 선정의 건’과 ‘진료비 전자청구 발전을 위한 컨설팅 용역진 선정의 건’에 대한 논의는 각각 대한의료정보학회(채영문 연세대 보건대학원 교수)와 한국과학기술원(김성희 테크노경영대학원 교수)의 제안서를 검토, 연구 및 용역진으로 선정키로 결론 내렸다. 김용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