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치협 회장단 등은 지난달 30일 김근태 보건복지부장관을 만나 오는 7월로 예정된 복지부 조직개편에서 구강정책과가 반드시 존속되거나 지금보다 확대돼야 한다는 의견을 전달했다.

관리자 기자  2005.06.02 00:00:00

기사프린트

치협 회장단 등은 지난달 30일 김근태 보건복지부장관을 만나 오는 7월로 예정된 복지부 조직개편에서 구강정책과가 반드시 존속되거나 지금보다 확대돼야 한다는 의견을 전달했다.
회장단 등은 또 지난달 25일 발표된 공공보건의료 확충 종합대책안에 치과공공의료에 대한 대책이 빠져 있다며 치과공공의료 확충 방안을 중요정책과제로 선정해 줄 것을 촉구했다.


안성모 협회장은 이날 신임인사차 김근태 복지부장관을 면담하는 자리에서 “과거에 모두 분산돼 있는 구강보건 관련 업무가 어렵게 통합돼 운영되고 있는 상황에서 갑자기 조직개편이 논의되고 있어 곤혹스럽다”며 “만약 또 업무가 분산된다면 국민들을 위해서도 좋지 않다. 구강정책과가 조직개편 논리에 휩싸이지 않도록 심도있게 생각해서 확대해 달라”고 말했다.


안 협회장은 또 “국민 편에서 보고 국민들 입장에서 의욕적으로 사업을 해나가려 한다. 무시되거나 없어지고 헤쳐 모여서는 아무 것도 안된다”면서 “치협도 구강정책과와 같이 일할 수 있도록 하겠다. 꼭 반영해 달라”고 거듭 강조했다.


이에 대해 김근태 장관은 “치과를 가볍게 보지 않는다. 어떤 직역도 과소평가 하거나 덜 중요하게 생각치 않는다”면서 “국민들에게 어떻게 효과적으로 서비스할지 시한을 갖고 고민중이다. 여러분이 걱정하지 않도록 참조하겠다”고 말했다.
이수구 부회장은 “고령화시대에서 노인들의 치아문제는 심각한 문제”라며 “공공보건의료 확충방안에 구강보건정책이 누락돼 있고 노인들의 구강보건에 대한 대책이 전부 빠져 있다. 구강정책과가 분산되면 사회적으로 어려움이 많다”고 설명했다.


김재영 부회장은 “구강정책과를 적극 밀어주면 국민들을 위해 많은 일을 할 것”이라며 지역에서 실천하고 있는 불우노인 무료틀니사업 등 다양한 봉사활동을 소개했다.
김성욱 총무이사는 “치과계에는 치과의사, 치과위생사, 치과기공사 등 치과인이 7만여명에 달하고 있음에도 구강보건정책은 항상 분산되고 후순위에 밀려왔다”며 “국민들에게 피해가 갈 수 있는만큼 치과 특성을 꼭 생각해 달라”고 밝혔다.


전민용 치무이사는 “이번 공공보건의료 종합대책 중 치과의료공공정책은 하나도 없다. 국민들의 구강건강이 자칫 더 후순위로 밀릴까 우려된다”고 지적한 뒤 “구강정책과와 협조해 실천 가능한 사업을 많이 할 계획”임을 설명했다.


이날 복지부장관 면담은 치협 회장단과 김성욱 총무이사, 전민용 치무이사가 참석한 가운데 40여분에 걸쳐 진행됐으며, 안정인 구강정책과장과 김주심 사무관이 배석했다. 회장단 등은 김 장관과 면담을 마치고 문경태 홍보관리실장도 만나 환담을 나눴다.
이윤복 기자 bok@kda.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