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7월말경 복지부 팀제로 조직개편 구강정책과 존속 ‘초미관심’

관리자 기자  2005.06.13 00:00:00

기사프린트

복지부 “직원 의견 수렴 등 탄력 대응” 밝혀


보건복지부가 오는 7월말경 팀제로 조직개편을 앞두고 있는 상황에서 구강정책과의 존폐 문제가 초미의 관심을 끌고 있다.
지금까지 다른 부서와의 통합이나 축소라는 우려 수준을 뛰어 넘어 구강정책과와 통합되려는 과가 구체적으로 거론되는 등 보다 자세하게 조직개편 방안이 논의되고 있는 상황이다.


복지부 혁신인사기획관실 관계자는 “아직까지 구체적으로 개편안이 마련되지 않았다. 현재로선 7월초는 어려울 것 같고 7월말까지 조직개편을 하도록 열심히 준비하고 있다”며 “조직이 전체적으로 개편되는 작업이기 때문에 직원들의 의견도 수렴하는 등 탄력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상당히 고심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오는 7월 중순경까지 구체적인 개편안을 갖고 기자브리핑을 한 뒤 국무회의 의결을 거쳐 복지부 직제령을 개정해 곧바로 시행에 들어갈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이런 상황에서 과거에도 복지부 부서 가운데서도 통합이나 폐지 1순위로 항상 구강정책과가 거론돼 왔고 송재성 차관이 부서 중에서도 업무량이 가장 적다고 직접 거론할 정도여서 이번 조직개편 과정에서 구강정책과가 타 부서와 통합돼 한개의 팀으로 축소될 가능성이 비교적 높은 편이다.
취임 초부터 이 문제를 파악한 치협 회장단은 지난달에 김근태 장관과 송재성 차관, 문경태 정책홍보관리실장을 잇따라 만나 직제개편시 구강정책과가 반드시 존속돼야 하고 구강보건정책이 더욱 강화될 필요성이 있다는 점을 크게 강조하면서 구강정책과의 존속을 거듭 촉구했다.


지난 2일에는 열린치과의사회가 주최한 특별강연회에서 안성모 협회장이 이석현 국회 보건복지위원장을 만나 이 문제를 거론하며 적극적인 도움을 요청하기도 했다.
이밖에도 구강정책과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는 건치나 구강보건협회 등 유관단체와 치과계 인사들이 관계요로를 통해 이번 조직개편에서 구강정책과가 존속되거나 확대돼 구강보건정책이 강화돼야 한다고 설득하는데 함께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김근태 장관은 지난달 30일 치협 회장단과의 면담에서 “제한된 공무원이 효과적으로 일하도록 고민하고 있다. 공무원들이 늘어 정책기획 업무를 효과적으로 해야한다. 국민들에게 어떻게 하면 효과적으로 서비스할지 고민중이다”고 밝혀 조직개편을 적극 추진하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김 장관은 또 지난 1일 건치와의 면담에서 구강정책과 확대·개편 요구에 대해 ‘원칙대로’, ‘장관이 결정하겠다’는 짧막한 답변만 되풀이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송재성 차관도 지난달 11일 회장단과의 면담에서 “업무량 평가에서 다른 과에 비해 구강정책과의 업무량과 사업도 적은 편이다. 업무량에 따라 조정될 것이다”고 밝혀 구강정책과 축소의사를 내비치기도 했다.
이윤복 기자 bok@kda.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