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과급제 (Incentive System)
성과급제는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의료서비스의 질을 높이고 그에 따른 직원의 성취감 및 추가 보상에 그 목적이 있다. 성과급제를 도입하기 위해서는 먼저 치과의 가치관과 목적에 부합되는 이상적인 모델을 선정하고 그에 따른 단계별 목표가 선행되어야 한다.이를 위해서는 도입하기 전에 충분한 시간을 갖고 그 필요성을 모든 팀원들에게 홍보하여 성과급제가 단지 경영자만의 이익을 챙기는 것이 아니라 모든 팀들에게 승승(win-win)전략이라는 사실을 깨닫도록 해야 한다. 치과의 경우 너무 성급하게 인센티브제를 도입한 나머지 그 역기능으로 인해 문제가 되는 경우가 심심치 않게 일어나고 있다.
예를 들어 신규 개원한 치과의 경우 의욕이 너무 앞서 인센티브제를 단기간 실시하였다가 목표 달성 후 다시 폐지 하면서 생기는 직원의 신뢰 저하 문제라든지 대형 치과의 경우 경영 상 너무 큰 목표를 설정한 나머지 직원들의 사기와 신뢰가 오히려 떨어지는 역기능도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경영자는 합리적이고 공정한 평가와 보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하며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사전준비를 철저히 하고 전 직원이 이해 할 수 있도록 합리적인 비전을 제시하여야 한다. 또한 예상되는 문제점, 도입시기, 방법에 대한 충분한 논의가 있어야 하고 이를 바탕으로 정확한 통계자료로 성과급을 표준화 시킬 필요가 있다.
성과급제의 장·단점
성과급제도는 일단 팀에게 충분한 동기가 된다면 진료실적이 향상될 수 있다. 팀원들에게 더 노력하여 성과를 올리고 좋은 대우를 받아 보겠다는 자기 능력의 시험 계기가 될 수 있고 열심히 일한만큼 대우 받을 수 있다는 직원들의 희망과 활기가 조직에 도움이 된다. 하지만 개인 별이나 팀 별로 인센티브제를 도입할 경우 급여의 차이에서 오는 직원들간의 위화감이나 근무분위기의 경색이 발생할 수 있어 그 부작용도 고려해야 한다.
적용대상 및 도입방법
성과급제도를 운영하기 위해서는 성과 측정과 관리가 필수적이다 즉, 팀별 또는 개인별 진료실적이 통계자료로 분석되어 계수관리가 되어야 한다. 측정방법은 공개되어야 하며 직종과 업무의 방법에 따라 성과의 측정방법이나 지불액이 상호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치과의 경우 통계치를 위해서 최근 3년간의 병원 실적을 분석해보아야 한다. 여기에 현재의 변수요소들(환경의 변화, 경영의 변화)을 대입하여 고려할 필요가 있다.
다만 서비스 개선이나 고객 만족 수치 같은 무형적인 것들은 계수화 하기 힘들 수 있으므로 매출에 대한 부분, 비용에 대한 부분을 고려, 계수화 하여 공개하고 성과급제를 도입하기로 한다. 대형 치과의 경우 팀별 인센티브제는 특히 이러한 객관적인 근거를 더 마련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