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국립대 치과병원 독립 절실” 공공구강보건의료 배제 등 설움 많아

관리자 기자  2005.06.30 00:00:00

기사프린트

장영일 병원장 “외로움 느꼈다” 심정 토로


전남·전북·부산·경북치대등 치과 진료처가 치과병원으로 독립되고 있지 못해 이번 정부의 ‘공공보건의료 확충안"과 관련 ‘공공구강보건의료 확충부분’에 대해 목소리를 내는데 힘이 밀리는 것은 물론, 관련 현안에서 소외되고 있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이에 국립대 치과병원들의 조속한 독립에 치과계 전체가 힘을 실어줘야 한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최근 정부는 오는 2009년까지 향후 5년간 공공의료 확충을 위해 4조3000억원을 투입키로 하는 내용을 골자로 하는 공공보건의료 확충을 위한 종합대책안을 발표했다.
하지만 이 대책안은 국립의료원을 국가중앙의료원으로 개편함과 동시에 국립대병원과 지방공사의료원을 보건복지부 산하기관으로 이양, 공공의료보건체제를 일원화하는 등 공공의료기관 육성방안에 대한 청사진을 제시하면서도 공공구강보건의료 분야의 확충에 대해서는 전적으로 배제하고 있다.


문제는 상황이 이런데도 국립대 치과병원들의 경우 현행법상 국립대 병원 산하 일개 진료처로 분류, 정부의 ‘공공보건의료 확충안’에 대한 실질적인 논의를 진행하는 자리에는 소외되고 있어 치과계 의견에 힘이 실리지 못하고 있다는 것.


실제로 모 지방 국립대 치과병원장은 “현행 ‘공공보건의료 확충안’에 ‘공공구강보건의료에 대한 안’이 전적으로 배제돼 있음에도 불구, 정부와의 사이에 이뤄지는 주요 논의자체가 각 병원대표 담당자 위주가 되다보니 진료처장 자격으로는 현안 논의에 참석할 기회가 적어 이를 공식 건의할 수 있는 루트를 확보하기 조차 어렵다”고 토로했다.


그는 또 “현 정부의 안대로 진행 될 경우 공공보건의료 확충을 위한 예산이 각 국립대병원에 편성된다 하더라도 각 치과병원은 예산지원에서 ‘뒷전’으로 밀릴 수밖에 없지 않겠냐”고 우려했다.
한편 모 지방 치과대학병원 관계자는 ‘양보단 질 아니야’, ‘지방에 있는 대학들은 지역적으로 멀어서 현안을 빠르게 파악하고 대처하기가 어렵다. 대표성을 지닌 국립대 치과병원서 앞장서서 공공구강보건의료 확충 등을 적극 건의해 주면되지 않겠냐”는 소극적인 의견을 피력하기도 했다.
하지만 치과계를 대표해 실무에서 뛰고 있는 장영일 서울대치과병원장의 뼈아픈 경험담에 보다 현실적인 무게가 실린다.


장 병원장은 “이번 공공보건의료 확충안 발표 직후, 구강보건부분의 확충안을 적극 건의하고 이를 관철시키기 위해 복지부와 교육부 등으로 정신없이 뛰어다녔지만 서울대 치과병원만 홀로 목소리를 내고 있는 것 같아 다소 외로움을 느꼈다”고 토로했다.


장 병원장은 또 “공공보건의료확충안과 관련해서도 현재 전국 국립대 병원들은 모두 모여 한 목소리를 내고 있어 의과쪽 의견에는 언제나 힘이 실리나 치과쪽은 사정이 다르다”고 지적했다.
장 병원장은 이에 조만간 국립대 치과병원들의 목소리를 모으기 위한 자리를 마련, 현안에 대해 구체적으로 논의할 계획을 갖고 있다.


한편 이번 공공보건의료확충안에 의하면 국립대병원에 대한 주관 행정부처가 교육인적자원부에서 보건복지부로 이전이 결정됨에 따라 치협과 국립대치과병원 등은 독립법인화를 위한 복지부 설득작업에 발 빠르게 대처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강은정 기자 human@kda.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