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단체들이 수돗물불소농도조정사업의 위해성 여부 등을 판단키 위해 자신들이 인정하는 객관적인 인사들에게 연구를 의뢰했으나, 불소화반대론자들의 주장이 일부 과장됐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는 사실이 뒤늦게 알려졌다.
이 같은 연구결과에도 불구 환경단체 중 불소화를 극렬히 반대하는 일부 생태론자들은 이를 무시하고 아직도 인체에 유해한 것으로 반대 투쟁에 나서고 있어 눈살을 찌푸리게 하고 있다.
불소화 논쟁이 뜨겁던 지난 99년 당시 상수도불소화 인체 위해성 여부 등을 놓고 환경단체 내부에서는 ‘위해하다’, ‘그렇지 않다’고 견해가 엇갈렸다.
이에 따라 환경단체(녹색연합)는 환경단체가 인정하는 객관적이고 중립적인 인사 5명으로 위원회를 구성해 검증작업을 요구, 김정욱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교수가 위원장을 맡아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 결과 불소화 사업은 충치 예방효과가 있으며, 암을 유발시킨다거나 뼈를 약화시켜 골절 위험도를 증가시킨다는 주장은 누구나 인정하는 객관적인 자료기준에 의해 주장된 것이 아니다라는 결론이 나온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불소화에 우호적인 치과계 연구자가 아닌 환경단체가 신뢰하는 연구자조차, 불소화 반대론자들의 오류를 일부 지적한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 아직까지 환경론자 중 일부 생태론자들은 이 연구마저 무시하고 불소화 위해성만을 강하게 부각시키며, 반대투쟁에 나서고 있어 시민단체의 도덕성 상실 지적이 일고 있다.
대표적인 불소화 반대 단체인 ‘수돗물불소화 반대 국민연대’는 아직도 자신들의 홈페이지에 ‘불소화가 암 사망률을 높인다거나 두뇌기능을 손상시킨다.’ ‘세기의 속임수’라는 등의 외국 불소화 반대론자들의 글을 싣고 객관성 상실 지적을 받고 있는 자신들의 주장을 굽히지 않고 있다.
전성원 건강사회를위한치과의사회 공동대표는 “불소화 반대 생태론자들은 과거 불소화 관련 연구 결과를 놓고 치과대학 교수나 치과계 우호적 인사들의 논문이라서 인정할 수 없다고 주장해 왔다”면서 “그러나 환경단체에서 객관적 인사를 지정해 나온 연구 결과도 인정치 않고 이를 뒤에 숨긴 채 불소화를 호도하고 있는 것은 시민단체가 가져야할 객관성과 도덕성을 상실한 처사”라고 지적했다.
한편 당시 불소화논쟁검토위원회 위원장 김정욱 교수는 “여러 연구자료나 문헌을 통해 객관적인 연구를 해본 결과 반대론자들의 인체 유해성 등 반대근거가 객관성 면에서 부족해 불소화 찬성론자들에게 유리하게 나온 것이 사실”이라며 “그러나 불소화 투입 여부는 사회적 합의에 따라 이뤄져야 하고, 정수장의 불소주입 과정에서의 완벽한 안정성은 보장되지 않을 수 있다고 지적한 바도 있다”고 밝혔다.
박동운 기자 dongwoon@kda.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