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대적 비교로 위안을 찾지 마라
사람은 상대방과 비교함으로써 심리적 위안을 삼는다고 한다.
예를 들어 대형 사고에 관한 뉴스가 TV에 나올 때나 누군가 큰 피해를 보았다는 소식을 접했을 때 자신이 그런 상황에 처하지 않았다는 안도감을 느끼게 된다는 것이다.
상대적 비교로 위안을 삼는 경우의 재미있는 실험도 있다. 어느 심리학자가 조사한 바에 의하면 다른 사람이 200만원을 벌고 내가 100만 원을 버는 경우보다, 내가 80만원을 벌고 다른 사람이 50만원을 버는 경우를 더 선호한다는 것이다. 이는 자기 자신의 기준을 정하지 못하고 상대적 비교로 위안을 찾는 인간의 심리를 단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치과의 수익이 떨어질 때 치과의사가 가장 먼저 하는 일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재미있는 답변이 나와 있다. 경기가 나쁘다는 것을 확인하기 위해 그 동안 연락이 없던 동료에게 전화를 한다거나, 거래하는 기공소나 치과 재료상들에게 다른 치과들은 어떤 상태인지 알아본다는 것이다.
나의 성공, 행복 기준은 무엇인가?
성공, 행복의 기준은 다양하다. 예를 들어 얼마 이상의 치과 수입 그리고 좋은 집, 폼 나는 자동차가 행복의 기준이 될 수 있다. 이런 행복론은 ‘결과로써의 행복론" 이라고 정의 한다. 어떤 조건을 선택하고 그 조건이 채워지면 행복하다고 결론을 짓는 것이다. 하지만 결과로써의 행복론이 가진 문제는 그 조건을 채우기가 갈수록 어려워진다는 것이다. 아파트의 평수는 늘릴수록 더 늘리고 싶고 단지 운반 수단의 자동차는 드림카라는 명목으로 우리의 눈높이를 키워 나간다는 것이다. 결과로써의 행복론의 폐해는 우리를 결국 지치게 만든다는 데 있다. 항상 새로운 조건이 나타나고 하나의 조건을 충족시키면 또 다른 조건이 우리를 기다리고 있다는 것이다. 또 다른 행복론이 있다. 그 것은 바로 ‘과정으로써의 행복론"이다. 어떤 조건이 이루어져서가 아니라 자신이 좋아하는 일을 선택하고 그 일에 몰두 하면서 얻게 되는 카타르시스가 우리를 행복하게 만든다는 것이다. 사람은 자기가 좋아하는 일에 몰두 할 때 행복한 느낌을 가진다고 한다. 하지만 과정에서의 행복론을 가진다고 하더라도 자기가 무엇을 좋아하는 지를 모른다면 결코 행복해 질 수 없을 것이다.
내가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파악하라
Become the best That you are capable of becoming 성공 이란 무엇인가 (What’s Success?)에 대한 답변은 상대적이다. 바로 당신의 선택이고 원칙이기(Your Choice, Principle) 때문이다. 성공과 행복은 나의 선택과 원칙과 가장 먼저 직결 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