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공에 대한 여러 가지 정의 중 내가 가장 좋아하는 정의는 “좋아하는 일에 최선을 다하고 하고자 하는 것을 이루는 것"이다. 행복한 내가 되기 위해서는 타인과의 지나친 비교를 피하고 결과론적인 행복보다는 자신이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고 스스로 선택한 성공과 원칙을 지켜나가면서 과정을 즐기는 것이 중요하다. 단 이러한 원칙과 과정도 시대의 변화를 늘 인식하고 반영해야 할 것이다. 이번호에서는 변화를 수용하고 미래를 진단하는 것이 왜 중요한지를 이야기 하겠다.
변화 인식 시스템을 구축하라.
스티븐 스필버그의 최신 영화 ‘우주 전쟁"을 보았다. 이 영화는 아주 단순하지만 기발한 컨셉을 갖고 있다. 한 줄로 정리하자면 지구를 침범하고 무차별하게 공격하는 외계의 생물체가 결국 지구 내에서 계속 진화된 아주 작은 세포 단위의 박테리아를 이기지 못하고 파괴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변화 관리의 전문가들이 말하기로 모든 살아 있는 유기체들은 생존과 번영을 위해 환경 변화를 인지하기 위해 노력한다고 한다. 그것은 단순히 선택사항이 아니다. 생존을 위해 필사적으로 몸부림치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인간도 결코 예외일 수 없다. 변화를 인지하지 못하면 결국 몰락에 이를 수 있다는 것이다. 성공적으로 국면 국면마다 주도적으로 변신해 나가는 사람들은 나름대로 미래를 읽어내는 독특한 변화 인식 시스템"을 소유하고 있다고 한다. 따라서 변화 인식은 미래를 진단하는데 필수적이다. 변화 인식은 스스로에게 다음과 같이 늘 질문하고 깨어 있어야 한다.
① 어떤 변화가 있는가
② 이런 변화가 내 직업환경에 미치는 위기와 기회는 무엇인가?
③ 나는 어떻게 환경 변화에 대응할 것인가?
④ 그리고 보완해야 할 점은 무엇인가?
여기에서 주의해야 할 사항은 변화에 대해 늘 깨어 있으면서도 쓸데없는 불안은 피해야 한다는 것이다. 즉, 노력을 위한 긍정적 긴장은 필요하지만 단순한 부적응적 불안(Maladaptive Anxiety)은 피해라는 것이다. 부적응적 불안 (Maladaptive Anxiety)이란 안정적인 상황에는 둔감하면서도 환경의 변화에 대해 불필요하게 과도한 불안과 공포를 느끼고 위험한 상황이나 불안한 요인을 과민하게 인식하는 것을 말한다.
치과의 변화는 어떠한가? 개원 자금에 대한 한계가 무너지고 대형화 공동 개원화가 하나의 트렌드가 되고 있다. 또한 시장원리의 확대로 인한 영리 법인과 사보험 제도의 도입이 초읽기에 들어와 있다. 문제는 이러한 변화에 대해 무조건적인 부적응적 불안을 가질 것이 아니라 그에 따른 효율 경영과 리더십을 구축하고 균형 있는 치과의사가 되기 위한 철학을 갖추는 것이 더욱 필요하다는 것이다. 우리는 변화를 무시하지도 두려워하지도 말아야 한다.
그리고 이러한 변화를 바탕으로 스스로 미래에 대해 진단하는 능력을 길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