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협의 정책강화를 위해서는 위원회별 사업에 대한 적정성 평가가 이뤄져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치협 기획위원회(위원장 신호성)는 지난 12일 치협 회관서 위원 상견례를 겸한 초도위원회를 개최한 가운데 치과계 중점과제 및 올해 기획위 중점 사업에 대한 논의를 시작, 위원회의 본격적인 가동에 들어갔다.
이날 사업 논의 자리에서 이수구 기획위 담당 부회장은 “치협의 전반적인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기획위원회 뿐만 아니라 치협의 여러 위원회들이 현재 수행하고 있는 사업이나 업무가 적절한지, 중복되지는 않는지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이 먼저 이뤄져야 한다”며 “기획위원회가 치협의 정책강화 차원서 각 위원회에 대한 업무분석 연구를 진행 할 것”을 제안했다.
이날 위원회에서는 또 기존에 수행됐던 치과계 각종 정책 연구 자료들이 체계적으로 취합, 정리 보관돼 있지 않아 “연구진행을 위한 참고자료 수집에 어려움이 많다”, “사업 중복수행 등에 우려가 있다”는 위원들의 지적에 따라 정책 연구 자료를 수집, 이를 체계적으로 정리 보관하는 사업을 진행하자는데 의견을 모았다.
아울러 최근 화두가 되고 있는 공공구강의료 확충과 이에 따른 인력수급 문제 등이 중점 연구로 우선 시행돼야 한다는 안이 제시됐다. 강은정 기자 human@kda.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