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재완 의원 주최 공청회
현행 치과의사 전문의제도는 의료전달 체계에 혼란을 일으킬 수 있는 만큼,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박재완 의원(한나라당·보건복지위원회)은 일부에서 제기하고 있는 현행 치과의사 전문의 제도의 문제점과 현황을 파악키 위해 지난 23일‘치과의사 전공의 수련제도 개선을 위한 공청회’를 국회 헌정 기념관에서 열었다.
이날 공청회는 박재완 의원을 비롯해 대한병원치과의사협회(회장 이희철·이하 병치협)와 지방 치대 교수를 중심으로 전문의제도에 대해 관심 있는 구강외과 관련 관계자 50여명이 참석, 열띤 토론이 이어졌다.
참석한 대부분의 관계자들은 ▲의료전달체계의 문제점 ▲소수 정예 치과의사 전문의 제도 8%의 문제점 ▲치과의사 전문의제도 관련 전담 기구 신설 및 이관 문제 ▲수련 병원 지정에 있어 소외되고 있는 지방 치대 및 종합병원 내 치과(구강외과)들에 대한 어려움 등을 지적하며 제도 개선을 요구했다.
발제자로 나선 김성곤 교수(한림대학교 성심병원)는 “전문의 수련병원이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과 각 치대가 소재하고 있는 도시에 몰려 있어 의료전달체계에 심각한 문제점을 나타내고 있다”면서 “이는 곧 국민들의 구강 건강과 직결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 자유 토론에 나선 오희균 교수(전남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는 “소수 치과의사전문의제도를 추구하는 것 자체가 잘못의 근본 이유”라며 “외국의 어떤 경우도 우리나라처럼 8%라는 소수 전문의제도를 시행하는 나라는 없다”고 주장했다.
오 교수는 아울러 “외국 여러 나라를 살펴봐도 치협이 치과의사전문의제도를 주관하는 경우는 어디에도 없다”며 “치협 치과의사전문의제도 시행위원회(이하 시행위)는 각 학회나 수련병원 등의 의견이 전혀 반영되고 있지 않다”며 문제점을 지적했다.
이에 대해 비공식적으로 참석한 신호성 치협 기획이사는“치협 시행위는 언제든지 의견이 개진되고 수렴될 수 있는 구조를 충분히 가지고 있다”면서 “현재도 도출된 여러 문제점들이 논의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효과적인 해법을 찾고 있는 시점”이라고 반박했다.
이 밖에 자유 토론 시간에는 지정 인턴제, GP 과정 도입, 인턴제 폐지 등 다양한 의견 등이 개진됐으며, 공청회 관련 일체 비용은 박 의원이 부담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 시행위 간사를 역임하고 있는 김철수 치협 법제이사는 “시행위는 현행 치과의사 전문의와 관련돼 노출된 문제점에 대해 적극적인 논의를 거치는 등 보완책 마련에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다”면서 “앞으로 치과의사 전문의제도 관련 문제점을 개진 할 경우 시행위를 통해 서로 입장을 조율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밝혔다.
김용재 기자 yonggari45@kda.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