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에이즈 감염자 혈액 유통 ‘파문’

관리자 기자  2005.09.08 00:00:00

기사프린트

에이즈 감염자 혈액이 27세 여성에게 수혈됐으며 감염혈액은 제약사로도 공급, 혈액제재로 만들어져 대규모 유통된 사실이 밝혀졌다.
지난 5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고경화 의원에 따르면 2004년 12월 1일 HIV 양성 반응을 보인 김 모씨가 헌혈한 혈액이 12월15일 부천의 S병원에서 허모(여)씨에게 수혈됐다.
더욱이 김모씨(22세 남성)의 혈액은 제약사로 그대로 공급돼 이를 원료로 만들어진 3798병에 달하는 혈액제제가 시중에 유통됐다.


특히 또 다른 에이즈 감염자 강 모씨(25세 남성)의 혈액으로 만들어진 제품 2만3천병도 판매된 것으로 나타났다. 김씨가 헌혈한 에이즈 오염 혈액은 제약회사 N사에 공급했다. N사는 이 에이즈 오염 혈액이 섞인 원료로 총 3798병의 알부민(20%) 주사제를 제조해 최근 시중에 유통 판매 한 것으로 확인됐다.


판매된 제품 안전성과 관련, 제약사와 식약청은 불활화(不活化) 공정을 거치기 때문에 혈장 분획제제를 통한 바이러스 감염우려는 없다고 항변하고 있다.
그러나 고 의원은 현재 판매되고 있는 혈장분획 제제의 약품설명서에는 부작용으로 ‘바이러스의 감염 가능성이 있다’는 점을 경고하고 있으며, 시중에 유통된 2만6천8백병의 혈장분획 제제가 완전히 안전하다고는 장담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더욱이 대한적십자사가 이 같은 사실을 지난 4월에 이미 알고 있었으면서도 복지부에 문서상으로는 보고하지 않고 7월에 구두상으로만 보고했으며, 복지부 역시 지금까지도 이를 발표하지 않아 그대로 은폐하려 한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다.
한편 교통사고로 에이즈 감염혈액을 수혈한 허모 씨는 다음날 사망한 것으로 알려졌다.
박동운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