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구강사업지원단 심포지엄
지난 9일 서울에서 시작된 수돗물불소농도조정사업의 추진열기가 부산까지 이어졌다.
부산광역시와 부산광역시 구강보건사업지원단(단장 김진범 부산치대 교수)은 지난 12일 오후 1시 30분 부산시청 12층 국제회의실에서 ‘건강한 치아는 수돗물 불소로부터(Healthy Teeth from Water Fluoridation)"이라는 주제로 부산광역시 수돗물불소농도조정사업(이하 수불사업) 추진을 위한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부산광역시와 부산광역시 구강보건사업지원단이 주최하고 부산광역시치과의사회, 대한치과위생사협회 부산경남지부, 건강사회를 위한 치과의사회 부산경남지부, 대한구강보건협회 부산지부 등 부산경남지역 치과계 단체들이 주관한 이번 심포지엄은 수불사업에 대한 일반인들의 이해를 돕고 사업 추진에 보다 활기를 불어넣기 위해 기획됐다.
특히 이날 심포지엄에서 데니스 오물란 윌튼대 교수는 수불사업 강제화 법률이 제정된 바 있는 아일랜드의 수불사업 현황을 설명하고 수불사업 실시 후 우식정도가 확연히 감소하고 있는 것에서 알 수 있듯이 구강보건을 위해 수불사업의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된다는 점을 지적했다.
또 김진범 부산광역시 구강보건사업지원단 단장이 ‘수돗물 불소농도조정사업 국내현황’을 주제로 청주, 진주 등 현재 수불사업을 진행하고 있는 지역들의 우식증 예방효과 등을 제시하면서 수불사업의 효과성과 안정성 등을 피력했다.
신성호 부산지부 회장은 환영사를 통해 “이번 심포지엄의 개최는 우식증 예방효과와 안정성에 관해 논의만 거듭하고 있는 수돗물불소농도조정사업의 개발에 전환점을 마련하는 계기가 돼야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수불사업 의무화를 골자로 한 ‘구강보건법 개정법률안’을 의원 11명과 공동으로 발의한 장향숙 의원은 “여러 가지 이유로 가장 기본적인 충치예방법인 수돗물 불소농도조정사업이 추진되지 못해 자기 힘으로 이를 닦지 못하는 중증장애인 등은 예방에서 소외되는 기현상이 나타났다”며 “현재 구강보건법 개정안을 국회에 발의한 상태이고 지역주민의 의견을 물어 반대가 적으면 수돗물 불소화를 의무적으로 실시하도록 하겠다”고 해당 사업에 대한 강한 추진의사를 밝혔다.
부산지부측은 “대표적인 충치예방사업인 수불사업이 시작된 지 벌써 4반세기가 지나가고 있지만 아직도 일반인들은 과연 안전한 것인가에 대한 의구심을 가지고 있고 반대론을 제기하고 있는 이들도 만만치 않는 등 사업의 추진이 미진했다”며 “이번 심포지엄은 사업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통해 일부의 우려를 불식시키고, 지방자치단체에서 확신을 갖고 적극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한 계기가 됐다”고 평가했다.
윤선영 기자 young@kda.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