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전문의·일반의 직무능력 구분돼야” 수련고시위 워크숍

관리자 기자  2005.09.26 00:00:00

기사프린트

치과의사 전문의의 직무능력(competency)에 대한 공감대 형성이 없고 전문의와 일반의에 대한 직무 구분이 모호해 앞으로 이에 대한 개선책이 마련돼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또 보건경제학적인 측면에서 치과의사 전문의에 대한 의료수요 예측에 대한 조사 연구와 전문의의 적정인력에 대한 과학적 산정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박영국 수련고시이사는 지난 22일 서울대 치과병원 8층 세미나실에서 개최된 ‘제1회 대한치과의사협회 수련고시위원회 워크숍’에서 치과의사전문의에 대한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주제로 의견을 피력했다.


박 이사는 “미국의 전문의제는 치의학교육의 한 부분으로 이뤄져 전공의 선발, 교육, 자격부여, 사후관리 등의 모든 과정이 치의학 교육과정에 준해서 이뤄지나 우리나라의 전문의제는 의료업의 면허 형태로 돼 있으며, 전체 의료체계와의 유기적 연관성과 명확한 역할 구분이 명시돼 있지 않다”고 지적했다.


박 이사는 또 “전문의 수급에 대한 장기적인 계획이 전무하다. 전공의의 정원 책정이 의료수요 예측에 근거한 장기적 수급계획에 의한 것이 아니라 치과병원의 저급여 인력확보를 위한 측면이 있다”며 “현행의 제3자 지불체계에서는 특정 진료과의 단과전문의가 과잉 배출되거나 인기가 없는 분야는 배출되지 않아 균형적 의료공급의 차질이 우려된다”고 밝혔다.
박 이사는 아울러 “전문의제가 잠재적으로 가진 문제를 근원적으로 해결 방지하기 위해서는 일차 진료기관에서의 전문과목 표방을 금지해야 한다”며 “이와 더불어 일차 진료 치과의사 제도의 신설이 전문의 배출 이전에 선행돼야 한다”고 조언했다.
안정미 기자 jmahn@kda.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