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국감 현장을 가다

관리자 기자  2005.09.29 00:00:00

기사프린트

 

의약품 부작용 사망 급증 대책 촉구
안명옥 의원


최근 의약품 부작용 관련 사망자가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 대책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드러났다.


안명옥 의원(한나라당 보건복지위원회)은 지난 26일 식약청 국정감사를 통해 해마다 의약품으로 인해 사망하는 환자가 늘고 추세로 정부 당국은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을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안 의원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01년부터 2005년 7월까지 식약청에 보고된 의약품 부작용 사례는 총 2901건으로, 2005년 상반기에만 53건이 의약품 부작용으로 인해 사망한 것으로 추정됐다.
이 중 의약품과 직간접적으로 인과 관계가 있다고 파악되는 건수는 2005년 상반기에 21건에 이르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으며, 의약품 부작용도 안면홍조, 구토, 두통, 뇌졸중, 환청, 토혈, 뇌출혈 등 다양한 것으로 조사됐다.


안 의원은 “의약품 부작용 보고와 관련 선진국에 비해 보고 되고 있는 건수가 전무한 실정”이라며 “의약품의 유익성과 위험성을 계속 추적, 관리하기 위해 모니터링을 활성화하고 부작용을 수집, 분석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안 의원은 여성들의 생활필수품인 일회용 생리대의 안전 관리 상태가 상당히 미흡하다고 지적했다.
안 의원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00년 설문조사 결과 716명 중 429명인 60%가 생리대 사용으로 인한 피부 질환, 가려움증 등의 부작용을 겪은 사례가 있지만 이에 대한 관리, 감독이 전무한 실정으로 나타났다.
안 의원은 “국민들의 건강에 관한 정부당국의 책임 있는 대응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용재 기자 yonggari45@kda.or.kr

 

 

 

고위직 적십자회비 납부율 저조
참여정부의 참여정신이 적십자 회비 납부 등 자발적 기부문화에는 적용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안명옥 한나라당 의원이 대한적십자사로부터 자료를 받아 분석, 배포한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참여정부 현직 총리 및 장관의 적십자회비 납부율이 56%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자료에 따르면 이들 총리 및 장관 재직 국무위원들의 경우 지난 2003년에는 93%를 납부했으나 현재 56%선으로 납부율이 떨어졌으며, 일부 위원들의 경우 총리 및 장관으로 재임 후 오히려 납부율이 떨어지는 모습도 보였다.
이 밖에 2003년 전현직 차관급 이상 고위공직자가 한국의 대표적 사회복지단체인 사회복지공동모금회에 기부한 것은 6개 부처 장차관 230만원에 불과한 것으로 드러났다.
윤선영 기자 young@kda.or.kr

 

 

일부 금연보조제 담배보다 타르 많다
김춘진 의원


시중에 유통되는 일부 금연보조제에서 일반 담배보다도 타르나 일산화탄소가 많이 함유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김춘진 의원은 지난 26일 식약청 국정감사를 통해 금연을 위해 니코틴이 없다는 이유로 즐겨 찾는 일부 금연보조제에서 타르 및 일산화탄소 함량이 일반 담배에 비해 많이 검출됐다며 관련 규정의 정비가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에 따르면 심지어 일부 궐련형 금연보조제의 경우 심지어 EU허용한도를 초과함에도 불구, 식약청의 ‘안전성·유효성 심사규정’에는 타르, 일산화탄소, 니코틴 등에 대한 함량측정 자료제출이 의무화돼 있지 않을 뿐 아니라 담배와 담배대용품처럼 타르 성분 표시가 의무화돼 있지 않아 국민의 보건과 안전을 위한 시급한 조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 의원은 아울러 담배의 경우 니코틴과 타르의 함량 표시만 의무화돼 있을 뿐, 일산화탄소와 타르, 니코틴 최대함량에 대한 규제가 없어 일산화탄소 표시의무화와 EU와 같이 허용한도 기준을 설정하는 것에 대한 적극적인 검토도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신경철 기자 skc0581@kd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