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 치과정책 강화 기획기사 후 치과계 반응은?

관리자 기자  2005.11.07 00:00:00

기사프린트

“정책 강화 적극 찬성한다”
“회원 모금은 더 지켜봐야”


‘치협 정책 강화 묘안 없나’ 시리즈 기획 기사가 본보에 게재된 이후 치과계 오피니언 리더들을 비롯해 일선 개원가의 정책 강화 목소리가 뜨겁게 이어지고 있다. 이들은 이구동성으로 ‘치과계 정책은 강화돼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적극 공감한다’고 말문을 연 박종수 치협 대의원 총회 의장은 “치과의사 인력 과잉 문제도 결국 정부 설득 과정에서 논리적인 자료 미비로 인해 답보 상태에 놓였지 않느냐”면서 “더 이상 땜질식 처방은 약발이 서지 않는다”고 정책 강화 필요성을 강조했다.
박 의장은 또 “정책 강화만이 치과계의 살길”이라며 “회원들의 모금을 통해서라도 정책 강화를 위한 시스템을 갖춰야 하며, 치협 집행부에서 정책 강화의 당위성을 심도 있게 연구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근세 전국지부장협의회 회장도 정책 강화의 필요성을 적극 지지했다.
이 회장은 “결국 문제는 재원 마련이 아니겠느냐”면서 “약사회 회원 기금 마련처럼 우리 치과계도 범 회원적 기금 마련 방안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 신영순 치정회 회장은 “치협 정책 강화의 필요성은 오래전부터 느끼고 있던 사실”이라며 “가장 합리적인 방안이 구강보건의료연구원 확대 개편일 수 있다”고 말했다.


신 회장은 또 “시드 머니 확보가 가장 큰 문제다. 회비 납부율도 저조한 상황에 회원들을 대상으로 모금을 한다는 것은 좀 더 논의를 해봐야 할 것”이라며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치협 연구 용역 과제를 여러 차례 맡은 바 있는 권호근 교수(연세치대 예방치과)도 정책 연구 과제를 연구 할 수 있는 전문적 인력의 육성을 강조했다.
권 교수는 “정책 강화라는 것이 재정적 여유만 있다고 되는 것은 아니다. 정책 강화의 첨병이 될 기초 치의학자들에 대해 우리 치과계는 너무 홀대를 했다”면서 “물질적으로 보상을 해주는 것이 아니라 치과계 정책 강화를 위해 큰일을 하고 있다는 자부심을 심어 주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권 교수는 아울러 “보건학 인력이라는 것이 하루아침에 길러지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치과계는 애정 어린 관심과 꾸준한 지원이 절실히 필요하다”고 밝혔다.
한편 치협 정책 강화에 대한 개원가의 반응도 뜨거웠다.
서울의 모 개원의도 “성장보다는 분배를 중요 시 하는 현 정부의 정책 기조를 볼 때 앞으로 치과의사들에게 더욱 큰 요구를 할 수 있는 부분이 있다”면서 “정부 협상 시 과거로부터 현재까지는 로비식 접근이 통했을지는 모르지만 앞으로는 체계화된 분석 데이터를 통해 논리적인 설득을 해야 할 것”이라며 정책 강화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또 인천의 모 개원의의 경우도 “의료 현실에 맞지 않는 관련법으로 인한 피해는 고스란히 개원가에게 돌아온다”면서 “관련 의료법들을 현실에 맞게 융통성 있게 바꿔 나갈 수 있도록 치협에서 노력해야 하며, 그것이 바로 정책 강화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치과계를 이끌고 있는 각계각층의 인사들은 하나 같이 치과 정책 강화 없이는 치과계의 미래는 어둡다는 데 인식을 같이했다. “이대로 주저앉을 것인가 미래를 향해 나아갈 것인가는 2만여 치과의사들의 손에 달려있다”는 주장이 힘을 얻고 있다.
김용재 기자 yonggari45@kda.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