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료 동의율을 올리기 위한 상담 준비는 어떻게 해야 할까? 상담자의 설명 기술(Case presentation skill)못지 않게 철저한 준비와 도구 활용이 필요하다. 성공적인 상담을 위한 준비는 다음 사항을 포함한다.
환자의 자료(정보)를 충분히 모은다.
환자의 과거 치과 경험이나 특별한 사항들을 초진 시 파악 한 뒤 메모해 두면 상담 시 유용한 자료로 쓸 수 있다. 이와 같은 사항들은 환자의 입장에서 적합한 치료 계획이 가능하며 치료 선택의 폭과 의사확인이 가능하다. 결국 치료 상담의 목표인 추천 치료 계획을 먼저 제시하되 환자 사정을 고려하여 치료를 회피하는 최악의 상황을 피하게 한다.
설명은 가급적 유니트 체어보다는 별도의 상담실, 상담코너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
방해 받지 않고 집중할 수 있다면 더 높은 동의율을 올릴 수 있다. 상담과정은 제한된 시간에 집중력을 요구하기 때문에 산만한 분위기를 피하는 것이 유리하다. 환자도 자신에게 집중해주는 것을 더 좋아한다.
스터디 모델, 치료한 구체 사례의 사진 또는 앨범, 컴퓨터를 이용한 프리젠테이션 등을 활용한다.
보다 효과적인 설명 방법을 제시하기 위하여 다양한 자료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
가령 치료법에 대해 질문이 있으면 그 자리에서 그림으로 보여주거나, 알기 쉽게 설명할 수 있도록 설명 자료는 늘 가까이 두도록 한다. 상담 도중 설명자료를 찾아 자리를 옮겨 다니는 것은 환자에게 산만한 인상을 주기 쉽다.
최신의 치료방법이나 환자에게 적합한 치료에 대해 정보를 제공한다.
의료기술의 진보에 따른 설명과 정보제공은 평소에 신문, 잡지에 게재된 기사를 파일해 두고 활용한다.
치료 순서(흐름)도를 미리 작성해 둔다.
치료 순서도는 당일의 치료와 차후 치료의 흐름을 알 수 있게 하고 치료의 단계를 알 수 있게 하는 도구이다. 치료 순서도는 환자들도 쉽게 알 수 있도록 전문 용어를 가급적 사용하지 말고 환자에게도 설명 가능하도록 작성하는 것이 좋다. 치료 순서도는 설명이 일목요연하게 나타날 수 있도록 각 시술 설명자료를 디지털 카메라나 기존의 사진 자료 등을 이용하면 좋다. 치료내용이나 치료의 흐름을 말로만 설명하는 것이 아니라, 서식이나 팸플릿 등으로 작성함으로써 환자의 이해를 깊게 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 치료 순서도는 환자가 이해하기 쉽고 치료의 가치와 효용(Value, Benefit)을 느낄 수 있도록 제작한다. 예를 들어 말이나 글로 된 설명 외에 사진이나 일러스트 등을 이용하면 시각적 확인이 가능하다. <다음호에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