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Seminar Point]심연수 보스턴 키즈치과의원 원장/잘 떨어지지 않는 실런트와 레진치료

관리자 기자  2005.11.28 00:00:00

기사프린트


치과의사들은 종종 환아의 보호자들로부터 다음과 같은 질문을 받게 된다.
‘실런트는 잘 떨어진다는데 꼭 해야 하나요?’ 치과의사들조차도 원래 실런트는 잘 떨어진다고 설명하기도 한다. 하지만 치아 우식증에 이환되기 쉬운 갓 맹출한 영구치를 앞으로의 위험에서 보호하여 건강한 상태로 유지해 줄 수 있는 실런트 술식이야말로 그 중요성을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을 것이다. 실런트는 잘 떨어지지 않고 치아에 유지되어 있을 때 그 진가를 발휘하는데 sealant retention에 중요한 세가지 요소를 살펴보면 첫째, 방습이다.


cotton roll isolation을 하여도 무방하나 대부분의 실런트술식이 갓 맹출한 제일 대구치를 지닌 7~8세 어린아이들에 행해지고 있음을 감안하면 rubber dam isolation이 가장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14A 또는 14번 클램프를 사용하여 대구치의 line angle에 4 point contact이 되도록 하여 rubber dam을 장착시켜 사용하는데 조금 꽉 끼는데 조금 지나면 훨씬 나아질 거라는 tell show do만으로도 충분히 협조도를 얻을 수 있다. 심하게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 약간의 침윤 마취가 필요하기도 하다. 협측 또는 설측 groove에는 gingival cord를 삽입한다.


둘째 요소는 tooth surface cleaning이다. 즉 얼마나 잘 열구를 깨끗이 하여 sealant material이 열구내로 잘 들어갈 수 있게 하느냐이다.


plaque로 잔뜩 덮인 교합면은 열심히 세마를 하고 탐침으로 열구를 구석구석 깨끗이 했음에도 간혹 dye에 염색되는 부위를 볼 수 있는 바 주의 깊고 철저한 치면세마가 요구된다. air polishing으로 열구의 실런트침투가 훨씬 증가한다는 보고가 있으나 그 사용이 복잡하고 고가인 장비로 인해 현실적이지 못하며 무조건적으로 enameloplasty를 하는 것도 권유할만하지 못하다. 하지만 깊고 좁으며 변색되어 치아 우식증이 의심되는 선택적인 경우에는 enameloplasty를 행하여 열구의 세척과 실런트의 깊은 침투를 도모할 수 있는데 1/4 round bur 나 thin tapered diamond bur, fissurotomy bur등을 이용할 수 있다. bonding agent의 사용은 열구의 wettability를 증가시켜 실런트가 열구내로 더 잘 흘러들어갈 수 있도록 도와주나 시술시간이 길어지는 단점이 있으므로 선택적으로 사용하여야 하겠다. unfillled sealant가 filled sealant보다 retention이 더 좋다는 보고가 많으나 filled sealant가 의외로 열구에 더 잘 흘러들어간 결과를 보여주는 논문도 많으므로 물리적성질이 더 좋은 filled sealant를 쓰는 것이 더 좋으리라 생각된다.


셋째로 치아 우식증의 정확한 진단을 들 수 있다. 갓 맹출한 대구치에서는 의외로 상아질에 근접하거나 상아질까지 진행한 우식증을 환아의 협조도 부족이나 기타 요인 등으로 발견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열구를 세척한뒤 caries detecting dye나 fluorescent laser 장비 등을 이용할 수도 있지만 무엇보다도 치과의사의 정확한 임상적인 검사 및 판단이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Kavo사의 DIAGNODent는 객관적으로 상아질 우식증에 대한 수치(18~30이상) 를 제시하므로 상아질 우식증이 있는지 판단이 모호한 경우에는 도움이 될 수 있다.


이외에도 몇가지 더 중요한 점을 추가하면 filled sealant를 쓰는 경우 실런트 도포후 교합을 꼭 체크해주어야 하며 환자 recall시 부분적으로 탈락된 실런트가 있다면 repair해 주어야 한다는 점이다. 실런트가 탈락한 부위는 그 부위만 다시 repair해 주어도 된다. 또한 실런트를 overfilling하는 것 보다는 소량을 사용하는 것이 retention증가에 도움이 되며 실런트 도포시 기포가 생기지 않도록 교합면 한쪽에서 다른쪽으로 실런트가 흘러가도록 도포하는 것도 하나의 요령이다. 최근에 에칭, primer, bonding이 한번에 해결되는 6세대 bonding agent를 이용하여 실런트를 한뒤 2년후 양호한 결과를 얻었음이 보고 되었으나 아직은 법랑질에 대한 결합력이 35% 인산을 사용했을 때보다는 훨씬 약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상과 같이 위에 설명한 여러 요인을 염두에 두고 시술한다면 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