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치과계 정책조율기구 급하다 현안싸고 딴 목소리내 정책소외 초래

관리자 기자  2005.11.24 00:00:00

기사프린트

구강사업지원단 제기…치무 “적극 검토”


범 치과계의 정책을 조율하는 기구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이같은 주장은 최근 치과계가 정부정책에 있어 소외받는 몇건의 사례가 잇달아 발생한데다 치과의사전문의제도, 간호조무사 업무범위 등을 놓고 서로 다른 목소리가 제기되고 있는 상황에서 정부의 구강보건사업을 책임지고 있는 관계자의 입에서 나온 말이어서 더욱 주목된다.


지난달 21일 구강보건팀 팀장에 부임한 김재홍 팀장은 지난 14일 복지부 회의실에서 열린 보건복지부 구강보건사업지원단 운영회의에서 “어떤 의견에 대해 치협과 건치가 의견이 다르는 등 각 단체별로 서로 다른 목소리를 내고 있어 혼란스럽다”며 “범치과계의 의견을 조율할 수 있는 정책조율기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 팀장은 “현재 주변여건이 어렵다. 수년내에 구강보건사업에 대한 구체적인 사업을 정책화시켜야 한다”고 강조하고 “그렇지 않으면 그동안 반복돼온 구강보건팀 폐지와 같은 역풍이 또다시 분다”고 우려했다.


김 팀장은 “범치과계는 큰 목표를 갖고 함께 나가야 한다”며 “치협, 학회, 정부가 노사정위원회 같이 단일목소리를 내는 정책조율기구가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이에대해 전민용 치협 치무이사는 “정책을 조율할 수 있는 기구의 필요성이 있다”며 적극 검토하겠다는 입장을 보였다.


김진범 지원단 수불사업팀장은 “학교보건법 개정안 논의 때 치과계가 거의 처음으로 자리를 함께했다”며 “예전부터 그 필요성을 느껴왔다”고 말했다.
권호근 교육훈련팀장은 “각 단체의 입장에 따라 정부를 따로 접촉하고 하다가 안되면 해달라고 요청하고 있다”면서 한목소리를 낼 필요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김재홍 구강보건팀장은 이날 회의에서 “논의돼 온 사업을 반드시 정책화시켜야 한다”고 강조하고 “법 개정이나 예산확보 차원에서 후속조치가 필요하다”면서 정책화를 위한 태스크포스팀을 구성할 것을 제안하기도 했다.
이윤복 기자 bok@kda.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