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미수복 치료를 위해서는 먼저 건전한 자연치의 형상을 관찰하고 이해하는 것이 우선되어야 한다. 즉, 자연치의 생물학, 기능과 역학의 원칙을 이해하고 모방하려고 노력한다면 심미는 당연히 따르는 결과라 하였다. 위의 요소들 간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먼저 치수의 vitality를 유지하는 테크닉을 선호하는데 BPRs이 유일한 방법이라 하였다. 전통적인 방법으로 치아를 신경치료하고 부족한 잔존 치질 확보를 위해 post & core를 시행하고 강하고 견고한 수복물로 대체하는 것이 과연 항상 옳은 치료인가 하는 것이다. 그보다는 건전치아의 biomimetic 원칙을 재생하는 치료방법(즉, BPRs)을 따르는 것이 옳을 수 있다는 것이다. 자연치의 법랑질, 상아질, 법랑-상아 경계부처럼 수복물의 porcelain, composite resin, dentin bonding agent를 통한 BPRs 치료가 더 보존적이고 심미적인 치료라고 하였다. BPRs에 대한 1.적응증 2.진단적 접근 3.치아삭제와 임시수복물 4.기공과정 5.접착에 대해 강의하였는데 특히 1, 3,5 번 과정을 좀더 자세히 소개했다.
1. 적응증
Type I. 표백술에 반응하지 않는 치아
A. 테트라사이클린 착색
B. 외부/내부 표백술에 반응하지 않는 치아 (실활치, 상아질 노출치아 등)
Type II. 주형태의 수정(Major morphologic modifications)
A. 원추형 치아 (Conoid teeth)
B. 정중이개(Diastema)와 치간부의 black triangle의 폐쇄(closure)
C. 절단연 길이와 풍융도의 증가
Type III. 성인에서의 광범위한 수복
A. 광범위한 치관부 파절(extensive coronal fracture)
B. 광범위한 법랑질 상실(ex. Erosion & wear)
C. 전반적인 기형(general malformations)
2. 진단적 접근
진단단계는 Diagnostic wax-up, Diagnostic Mock-up을 포함한다.
3. 치아삭제와 임시수복물
1) 구개면의 관찰과 수정 - 예를 들어 internal bleaching 등의 선행 술식 필요시, 2주 정도 기다린 뒤, bonding 과정을 해야 한다.
2) 진단모형을 제작하여 진단 wax-up-노화 등에 의해 마모된 법랑질의 ‘Enamel lifting’ with finger-tip assisted wax-up
3) 실리콘 인덱스 - Mock-up 제작용, 순면 삭제 확인용, 절단 공간 확인용 필요
4) 순면삭제 - 절단부 0.7mm, 치경부 0.5mm의 균일한 깊이의 Mock-up 삭제를 위해 round diamond bur로 groove 형성, regular chamfer bur로 완성
5) 치간부 삭제 - 기존의 치간부 접촉점의 형태를 따른다. 공간 폐쇄 증례에서는 가능한 구개측으로 연장해 ‘miniwing’형성
6) 절단연 삭제 - full thickness porcelain layering 위해 최소 1.5mm 공간 필요
7) 구개부 삭제 - total wrapping with but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