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Seminar Point]“What we can do at present and in the near future : advancement of dental implant treatment and tissue engineering”Kasugai 교수 (도쿄의과치대)

관리자 기자  2005.12.15 00:00:00

기사프린트


도쿄의과치과대학의 임프란트 및 재생치의학(Oral Implantology and Regenerative Dental Medicine)과 주임교수인 Kasugai 교수는 먼저 현재 많이 시행되고 있는 즉시 부하와 즉시 식립의 문제 그리고 심미적 임프란트 수복에 대하여 본인의 증례를 바탕으로 한 현상에 대하여 강의하였다. 일본에서도 치과 임프란트 치료는 이제 대세가 되었으며 임프란트가 치과 치료의 핵심으로 떠오르고 있다는 것과 즉시 부하 조건 그리고 유의사항 그리고 환자의 심미적 요구도를 맞추기 위한 노력에 대한 내용은 최근의 화두가 되고 내용으로 우리가 접해왔던 것과 별반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이후 계속된 골 재생에 대한 강의는 현재 진행되고 있는 골 재생 기법에 대한 미래 지향적인 연구로서 아주 흥미로운 것이었다. 골 재생을 위한 방법으로서 크게 alpha-TCP의 평가, rhBMP2를 이용한 골 증강술, 약물을 이용한 골증강술, gene transfer를 이용한 골증강술, 그리고 세포를 이용한 골증강술에 대한 연구와 강의는 아주 새로운 것이었다. 특히 환자와 의사 입장에서 골재생 술식의 가치를 2E2S로 구분하여 환자의 입장에서는 Safe, Effect, 의사의 입장에서는 Simple, Economical의 4개의 요소로 구분하여 각각의 골 재생 기법의 미래 지향적 가치를 알기 쉽게 설명하였다.


BMP는 이미 많이 알려져 있으나 경제 가치가 아주 낮아 앞으로도 상용화되기에는 무리가 많다는 지적을 하였고, 약물을 이용한 골 재생에서는 콜레스테롤 합성의 inhibitor이며 고지혈증의 치료 약물인 statins를 이용하여 동물실험에서 발치와에 PLGA(Biodegradable copolymer of lactic acid and glycolic acid)와 TCP 그리고 statins 약물인 simvastins를 혼합하여 이식하면 발치와 volume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고 하였다. 이는 임상에서 치아 발거 후 나타나는 급격한 치조골의 폭경의 퇴축을 예방할 수 있는 치료법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이 방법은 2E2S 요소에서도 가장 높은 가치를 부여함으로써 미래 지향적인 방법이다.


Gene transfer tech의 기법은 크게 viral vector와 nonviral vector로 나눌 수 있는데 그 중 non viral vector방법 중 Gene-activated Matrix 방법인 plasmid DNA vector를 이용한 연구가 kasugai 교수의 주요 연구 테마로 이 방법의 장점은 다른 virus vector에 비하여 안전하고 plasmid DNA가 게놈 DNA에 섞일 가능성이 매우 낮으며, 발현이 일시적이고 많은 양의 plasmid DNA를 쉽고 경제적으로 만들 수 있다는 것이다. Kasugai 교수의 쥐를 이용한 실험에서 fibula의 결손을 plasmid DNA vector를 이용한 골 재생실험에서 훌륭하게 fusion시킨 결과를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지금 최고의 관심사인 stem cells를 이용한 골 형성에서 ES(Embryo stem) cell은 윤리적인 문제 때문에 골수, 골막, adipose tissue, peripheral blood로부터 stem cell을 얻을 수 있으며 골수로부터 stem cell culture를 통하여 large defect를 해결하는 예로서 CPC(cell processing center)와 각 치과가 서로 연계하여 골 재생 치료하는 모델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이 방법은 아직까지 2E2S의 요소에서 볼 때 안전성과 단순성, 경제성에 의문이 많은 방법이다.


결론적으로 과거와 현재까지의 치과 치료는 material을 위주로 한 치료였지만 미래에는 재생 기법의 치료가 주가 될 것이다.
정리:남윤우 원장(한국국제구강임프란트학사회 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