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병원에 근무하는 봉직의는 자신의 급여액보다 평균 6.5배 이상의 매출을 올려야 생산성이 적정하다는 연구결과가 나와 주목을 끌고 있다.
중소병원협의회(회장 김철수)가 최근 발표한‘진료과별 성과연동 총액연봉제에 관한 연구’에 따르면 봉직의의 급여와 병원의 매출을 연동시키는‘매출가중치’를 개발함으로써 중소병원이 봉직의와 임금 협상을 할 때‘성과를 올린만큼 급여를 책정하는’임금체계가 가능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GROSS 기준으로 봉직의는 진료과별로 급여의 4.5배~8.8배(평균6.5배)만큼의 매출을 올려야 생산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예를 들면 6500만원 매출을 올리는 봉직의 연봉은 1000만원이 된다. 이 연구는 의료이익 2%를 올리는 것을 전제로 하여 산출된 값이다.
또 성과연동총액연봉제를 적용할 경우, 병원과 봉직의 모두가 상생하는 임금체계인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봉직의는 일반 근로자처럼 절세관리를 직접 하는 대신에 연말정산으로 많은 환급금을 받을 수 있고, 성과를 올리면 그에 따라 더 성과급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제시됐다.
반면에 병원은 성과연동을 하게 됨에 따라 일부 병원에서 있었던 급여의 거품을 제거하게 되면 총액제에 따른 추가부담은 그다지 크지 않을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협의회 관계자는 “이 연구 결과는 실제 병원 경영에 적용하면 많은 도움이 될 수 있는 내용들이 많으므로 회원 병원들에게 커다란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용재 기자 yonggari45@kda.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