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정출산 등과 같이 해외로 유출되고 있는 외화를 국내 고급의료기관을 통해 흡수하겠다는 전략이 해외환자를 적극 유치하는 쪽으로 방향이 전환돼 주목되고 있다.
의료산업선진화위원회 산하의 보건의료서비스 제도개선소위원회는 지난 12일 열린 제3차 회의에서 의료서비스산업의 주요목표 3가지 중 하나로 적극적인 해외환자 유치를 통해 의료서비스산업 무역수지적자를 개선하기 위한 지원방안을 검토과제로 선정했다.
제도개선소위는 이날 원정진료 증가가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으나 이는 영주권 획득을 위한 원정출산, 공여자를 찾지못한 장기이식, 프라이버시 보호 등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국내흡수가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복지부 보건의료서비스혁신팀 관계자는 “이는 그간 일부에서 주장한 고급의료기관을 통해 원정진료를 흡수하겠다는 전략과 분명한 차이가 있는 것”이라며 “원정진료를 국내로 흡수하는 것이 아닌 해외환자를 유치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은 것”이라고 강조했다.
제도개선소위는 국내서비스 개선을 통해 해외원정진료를 흡수하겠다는 전략은 현실적인 대안이 못된다며, 원정진료 규모 축소의 소극적 목표가 아닌, 기술·가격면에서 우위에 있는 우리나라 의료를 적극 수출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전환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해외환자 유치 범위도 성형·미용 등에 국한하지 않고 암, 심장질환 등 경쟁력 있는 분야 전반에 한국 의료기술의 브랜드 네임을 제고해 해외환자를 유치하는 방향으로 검토키로 했다.
이를 위해 제도개선소위는 숙박·언어 등 부가서비스에 대한 원스톱 서비스체계를 구축, 문화적 장별 해소를 위한 국가간 의료인력 교류 활성화 및 환자 의뢰체계 구축 등을 검토키로 했다.
이윤복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