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Seminar Point]다양한 상악동 거상술과 효과적인 임상적 결과/장상건 회장 (국센스블치아이식연구회)

관리자 기자  2006.01.19 00:00:00

기사프린트


인공치아의 이식과 관련하여 상악동은 반드시 넘어야 할 산이다. 여기에 더욱 어려운 조건은 발치 후 치조골의 흡수 현상과 장기간에 걸친 틀니의 사용으로 인한 치조제의 흡수현상과 그리고 상악의 구치부 치조골의 골밀도는 다른 부위에 비해 매우 불량하여 정상적인 골삭제 및 이식방법으로는 어렵다는 것이다.


이러한 3가지의 조건을 함께 가지고 있는 상악의 구치부 인공치아이식은 많은 임상가들에 의해 가장 많은 다양한 술식의 방법과 임상적 결과 등을 많은 문헌을 통하여 보고되어지고 있다.
이러한 상악골의 골이식을 위한 거상술은 골이식재의 선택과 함께 다양한 임상술식을 위한 고도의 능력과 장기간에 걸친 성공률을 위하여 확신을 가져야 하기 때문에 더 많은 임상가들의 관심이 집중되는 연제임에는 틀림이 없다.


지금까지의 상악동 거상술을 위한 시술의 발전을 보면 Tatum에 의해 제기되고 Boyne과 James가 발표한 lateral window technique를 위한 two stage에서부터 발전하여 External Sinus Lift (ESL) and Internal Sinus Lift (ISL) with simultaneous implant placement 및 External Sinus Antrotomy(ESA) for lift membrane & Internal Sinus Augmentation(ISA) for bone graft simultaneously implant placement 등을 거론 할 수 있다. 이들 중 효과적이면서도 간편한 술식은 마지막 방법으로 환자에게도 두 번의 수술을 하지 않고 상악동 점막의 손상도 최소화 할 수 있는 방법으로 여겨진다.

 

 최근 상악동 내시경을 이용한 Wilfried Engelke에 의한 Subantroscopic Laterobasal Sinus Floor Augmentation(SALSA) 등이 제기되고 있지만 또 다른 hole을 상악동 측면에 뚫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골이식재의 조건으로 space making effect를 가지고 오는 mixed type을 추천하고, PRP효과는 장기간에 걸친 치조골의 재생능력과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주제의 결말을 맺었다. 추운 날씨에도 불구하고 많은 열기는 2시간의 강연이 내내 아쉬움으로 남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