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교육부, 전문대학원 체제 정착 추진 계획 문제없나 형평성·교육체계 혼란 가중 우려

관리자 기자  2006.01.26 00:00:00

기사프린트

이번 교육부가 발표한 전문대학원 정착을 위한 추진 계획의 핵심은 앞으로 치의대가 치의학전문대학원으로 전환하는 것을 전제로 학사출신 정원이 전체 정원의 50%범위만 되도 전문대학원(4+4) 전환을 허용토록 한 것이다.
또 나머지 50%는 현행처럼 기존 의예과(2+4) 체제로 운영하거나, 고교졸업 후 대학 입학단계에서 전문대학원을 전제로 학부 신입생을 미리 선발할 수도 있도록 하는 ‘보장형’ 체제를 학교 자율에 따라 선택할 수 있도록 했다.


이는 대학 입시단계에서 우수학생들을 일부라도 선점할 수 있게 하겠다는 복안으로 이 같은 안은 기존 전문대학원 전환을 반대해온 대학들의 의견을 대폭 수용한 것이다.
하지만 교육부의 이번 안에 대해 벌써부터 여러 가지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 일단 이미 전문대학원제를 도입한 대학들과의 ‘형평성’ 문제가 가장 크게 지적되고 있다.
또 교육체계를 ‘4+4’, ‘4+4와 2+4 병행’, ‘4+4와 보장형’등으로 쪼갬으로써 교육체계 전반에 혼란을 가중시킬 수 있다는 우려다.


일례로 학위 출신정원 50%를 전문대학원 인원으로 뽑고 나머지 50%에 대해 현행처럼 치의예과를 선택할 경우, 한 대학 내에 학사와 석사 학위자가 동시 배출되는 모순이 발생, 결국 학위 배출자들의 불만이 표출 될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다.
아울러 50:50 체제로 갈 경우 정원을 절반씩 나눠야 하기 때문에 정원이 40~50명 선으로 인원이 적은 대학들인 경우 사실상 실효성이 없다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실제 입학정원이 55명인 경희의대는 2003년 의대와 의학전문대학원을 50:50을 병행했지만 여러 가지 문제로 2006학년도부터 의학전문대학원으로 전면 전환했다.
강은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