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특별임상강좌/(가칭)대한치과근관치료학회]근관치료 어디까지 와 있는가(5)근관충전의 혁명 - 열가소성 충전: 수동식 콘크리트에서 레미콘으로로

관리자 기자  2006.02.13 00:00:00

기사프린트

김 성 교 교수
경북치대 졸업
경북대학교병원 치과보존과 전공의 수료
서울대 대학원 치의학박사
미국 펜실베니아 치대 근관치료학과 방문교수
현) 경북치대 치전원 치과보존학교실 교수
저서: ‘임상가를 위한 근관치료학(2001)’ 외

 

 

 

 

근관내부를 완전히 정화하여 치수원인의 병소 치유를 도모하고 근관계를 철저히 폐쇄하여 병소의 재발을 방지하고자 하는 것이 근관치료의 내용이다(그림 1). 정화된 근관을 잘 충전하려면 근관의 모양을 적절하게 성형하여 근관충전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근관충전의 목적은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1) 구강이나 치근단조직으로부터 근관계 속으로 연결되는 모든 누출 통로를 제거하고 (2) 근관의 정화 및 성형 과정 동안에 완전히 제거될 수 없었던 자극물을 근관계 내에 봉쇄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효과적인 근관충전을 위해서는 두 가지 측면을 고려해야 한다. 하나는 충전방법에 따라 요구되는 근관의 성형이고 나머지 하나는 근관의 충전방법 자체이다.

 

첫째, 근관충전방법이 요구하는 근관의 성형이다.
최근에 소개된 다양한 디자인의 근관형성 기구 사용은 근관의 정화 및 성형의 측면뿐 아니라 근관충전의 측면에서도 현저한 도움을 주고 있다. 표준화된 0.02 taper의 기구로 근관을 형성한 경우에는 근관의 taper가 제한되어 있어 측방가압법을 주로 사용하여 근관을 충전하고 좁은 근관에서는 근관 condenser 등의 근관충전기구들이 들어가기에 부적절하므로 이 기구들이 들어가려면 중간부 및 근단부 근관을 별도로 더 확대해야 한다.


한편, 0.04, 0.06 등 taper가 큰 기구로 근관을 형성한 경우에는 gutta-percha를 가열하여 성형, 충전하는 여러 가지 방법을 사용하기에 용이하다.

 

형성된 근관이 열가소성 충전할 준비가 되었는지를 점검해야 할 사항
1. 각 근관의 크기에 따라 전동기구를 사용하여 적절한 크기로 확대하였는가.
2. 근관충전에 사용하는 plugger 등의 기구들이 각각 필요한 깊이까지 들어갈 수 있게 근관이 성형되었는가.
3. 근관의 만곡을 유지하면서 근단공을 넘거나 부족하지 않게 모든 근관계가 정화되고 성형되도록 최선을 다 하였는가.
4. 근관충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