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특별임상강좌/(가칭)대한치과근관치료학회]근관치료영역의 수술개념 및 장비변화

관리자 기자  2006.02.20 00:00:00

기사프린트

김 의 성 교수
연세치대 졸업
연세치대 병원 보존과 수련 및 석·박사
University of Pennsylvania 근관치료학과 수련
연세치대 조교수

Specialist member of American Association of Endodonitists

 


근관치료학 분야에서 현미경(그림 1)의 사용은 임상적으로 술식의 많은 변화를 가져 왔다. 특히 치근단 수술에서는 절개와 판막거상 그리고 봉합을 제외한 모든 술식이 현미경 하에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치근단 수술시 현미경을 사용했을 때와 사용하지 않았을 때의 차이점을 비교하고 기구와 technique의 변화를 간략히 기술하고자 한다.


Illumination, Magnification, and Microinstruments
수술현미경의 가장 큰 장점이라면 illumination과 magnification을 들 수 있다. 이는 예전에 잘 보이지 않아 손의 감각에 의존하며 추측으로 하던 술식들을 정확히 보고 함으로써 그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수술현미경과 함께 사용되는 여러 가지 기구(그림 2)들이 현미경하에서 사용 가능하도록 작게 제작됨으로써 실제적인 microsurgery를 가능하게 되었다.


Intact한 buccal bone에서 치근단 부위의 identification
치근단 수술 중 술자를 당혹스럽게 하는 것 중의 하나가 판막을 젖혔을 때 buccal bone이 intact 하여 치근단 부위를 잘 알 수 없을 때이다. bone은 치질과는 달리 좀더 soft하며 치질은 yellowish한데 반해 bone은 white한 색을 띤다. 그러나 이러한 차이는 현미경과 같은 visual aid가 없으면 인지하기가 어려우며 이럴 경우 불필요하게 osteotomy를 크게 만들 수 있다. 그러나 현미경과 micro-srugical explorer(그림 3)을 사용하여 약 10배에서 16배 정도의 배율로 보게되면 치근단 부위를 정확히 인지할 수 있어 건존한 bone의 제거를 최소화 할 수 있다.


Osteotomy size
Conventional surgery에서 osteotomy size는 사용되는 기구의 크기 때문에 microsurgery에 비해 클 수밖에 없다(그림 4). Osteotomy size가 크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