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자 기자 2009.04.20 00:00:00
치주질환은 치과영역의 2대 질환으로 많은 성인들이 이것 때문에 고생을 하고 있는데, 잇몸에서 피가 난다든지, 치아가 흔들린다든지 하는 것이 대부분 치주질환에 의한 것이다.
성인이 된 이후에는 치아를 상실하는 첫 번째 이유가 치주질환에 의한 것임을 감안한다면, 치과의사로서 치주질환을 치료해야 하는 것은 어쩌면 사명감인지도 모른다.
하지만, 개원가에서 제일 치료하지 않는 영역이 치주치료인데, 이것은 그에 상응하는 경제적인 대가가 적을 뿐 아니라, 치료 후에도 깔끔하게 잘 낫지를 않고 재발이 잘되기 때문이 아닌가 여겨진다.
또 치주치료를 위해 치석제거술 등을 하면, 시리다는 불평을 듣게 되며 이것이 더욱 치주치료를 하지 않게 하는 요인이 아닌가 한다.
하지만, 치주치료는 지속적으로 받을 때 그 효과가 더욱 잘 나타나며, 이렇게 할 때 치주질환이 재발이 잘 되지 않을 뿐더러 치아가 시린 증상도 차츰 완화된다.
이것은 결국 치아의 상실을 줄이게 되어 국민의 건강에 기여하게 된다.
최근에 들어 치주질환의 원인에 대한 새로운 접근이 시도되고 있다. 치주질환은 세균에 의한 감염으로 알려져 왔는데, 이 큰 틀에는 변함이 없지만 치주질환을 일으키고 심하게 하는 요소로 세균 이외에 다양한 원인들이 제시되고 있다.
즉, 치주질환은 한 가지의 원인(세균)에 의해서만 발생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복합적인 요소에 의해 발생되며 이렇게 치주질환의 발생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에는 흡연 여부, 당뇨병, 그리고, 유전적요소 등이 있다.
이들 위험인자에 의해 치주질환이 잘 생길 수도 있으며, 남들보다 훨씬 더 심하게 앓을 수도 있고, 치주치료에 의해서도 치료가 잘 안될 수도 있다.
따라서 치석제거술과 치근활택술을 열심히 해주면서 환자의 여러 가지 상황을 잘 파악하여 흡연가에게는 금연을 권하고, 당뇨환자에게는 당뇨의 심각성을 일깨워주는 식의 접근이 필요하다.
이번 심포지엄에서는 개원가에서 쉽게 할 수 있는 정도의 치료에 대한 내용을 취급할 예정이며, 치주치료 후에 보험 청구를 할 때 오류를 미리 파악하여 향후 치주치료시 불합리한 손해를 입지 않도록 정보도 제공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