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자 기자 2006.04.06 00:00:00
김 미 은 교수
단국치대 조교수
단국대 치과병원 구강내과 과장
대한구강내과학회 정보통신이사
(가칭)대한구강안면통증 및 측두하악장애학회 평이사
Diplomate of American Board of Orofacial Pain
기질적 병변으로 인한 유해자극의 유입없이 신경조직자체의 이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통증을 신경병성 동통(neuropathic pain)이라고 한다. 신경병성 동통의 분류는 한번 발생한 통증이 지속되는 정도에 따라 ‘발작성"과 ‘지속성"으로 나누는데 발작성 신경병성 동통의 대표적인 질환이 삼차신경통으로 격심한 통증이 짧게 반복되며 통증기 사이에는 pain-free interval(remission period)이 존재한다.
지속성 신경병성 동통은 주로 화끈거리거나 따끔거리는 통증이 멈추지 않고 계속되는 경우로서 가끔 증상의 완화를 보이기도 하지만 완전히 사라지지는 않는다. 포진후신경통, 비정형 치통 등이 포함되며 기전이 불분명하고 통상적인 진통제에 반응하지 않기 때문에 치료가 어려워 환자와 의사 모두를 곤혹스럽게 질환이다. 전신질환이나 심리적 요인 등과 관련되는 경우도 많으므로 철저한 병력조사 및 검사 등 정확한 진단을 위한 노력이 필수적이다.
신경병성 동통의 감별진단을 위해서는 통증의 위치, 특성, 지속시간, 빈도, 악화/감소요인을 확인해야 한다. 이 글에서는 치과진료실에서 비교적 쉽게 만날 수 있는 신경병성 동통질환을 중심으로 특징과 약물치료법을 살펴보고자 한다.
1 발작성 신경병성 동통 (Paroxysmal neuropathic pain)
1. 삼차신경통 (Trigeminal neuralgia)
삼차신경통은 뇌병변, 다발성경화증 등이 삼차신경을 압박하여 발생한 속발성과 특별한 원인없이 발생한 특발성으로 나눌 수 있다. 속발성 삼차신경통의 경우 심각한 질환이 많으므로 MRI 검사가 필수적이며, 특히 40세 이전에 발생하거나 양측성으로, 혹은 신경학적 결손을 동반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감별해야 한다. 특발성 삼차신경통의 임상특징은 아래와 같다.
연령/성별 : 50세 이상 (남 < 여)
부위 : 편측성, 하악 또는 상악
동통 특성 :
- 삼차신경의 이환된 분지를 따라 갑작스럽게 발생하는 통증
- 전기충격 또는 바늘로 찌르는 것처럼 예리하고 강한 통증
- 통증 지속 시간 : 수초~2분
- 유발요인 : 식사, 말하기, 세수, 면도, 잇솔질 같은 일상적인 활동, 찬바람
원인 : 불분명 (뇌혈관 경화로 인한 후두개와 내 삼차신경의 압박과 관련)
약물치료 (Table 1)
- 일차 선택약물은 carbamazepin으로 대부분의 환자에서 효과적.
- 대표적인 부작용은 골수억제로서 빈혈, 백혈구감소증, 혈소판감소증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혈액검사(CBC)를 통한 지속적인 관찰이 필수.
- 혈액검사 : 첫 2개월은 1∼2주 간격, 이후 매월, 1년 후부터는 1∼2회/년 시행
2. 설인신경통 (Glossopharyngeal neuralgia)
삼차신경통과 유사한 통증이 인후나 귀 등에서 나타나고 연하나 기침에 의해 통증이 유발된다. 삼차신경통보다 발생빈도가 현저히 낮다.
2 지속성 신경병성 동통 (Continuous neuropathic pain)
1. 포진후 신경통 (Postherpetic neuralgia)
편측성의 발진, 궤양과 함께 심한 통증을 동반하는 대상포진(Varicella zoster) 환자의 일부는 피부와 점막의 병소가 나은 후에도 통증이 지속되는데 이를 ‘포진후 신경통"이라고 한다.
연령/성별 : 40세 이상
부위 : 이환된 신경이 분포된 피부 (편측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