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자 저조 예산 악순환… 근본대책 절실
치의학전문대학원에 진학하기 위한 첫 관문인 DEET(Dental Education Entrance Test : 치의학교육입문검사)가 또 다시 암초에 걸렸다.
올해 3회째를 맞게 되는 DEET가 예산 때문에 무사히 치러질 수 있을까 하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매번 반복되는 예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보다 근본적인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DEET의 예산에 구멍이 난 것은 예상보다 지원자가 저조했기 때문이다.
DEET를 출제하고 있는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측은 당초 6000여명이 응시할 것으로 예상했으나 2004년도에는 1668명이 응시하는데 그쳤으며, 2005년에는 1355명으로 더 줄어들었다.
처음 DEET가 시행된 2004년에는 응시료를 제외한 나머지 비용에 대해 교육부가 모두 지원했으나 2005년도에는 응시료를 제외한 금액에 대해 신입생을 선발하는 6개 치의학전문대학원의 교육부 지원금으로 충당하도록 했다.
이에 따라 치과계에서는 교육부가 치의학전문대학원으로 전환하도록 각종 유인책을 썼으면서 전환하고 나자 발뺌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A 교수는 “정부에서 DEET에 대해 책임을 진다고 묵시적으로 언질을 했으면 국회 예산에 반영이 돼야 하는데 기획예산처에서는 DEET 시험은 수익자부담 원칙이라고 주장하면서 교육부와 의견이 배치돼 결과적으로 예산이 없어져 버렸다”고 말했다.
치과계 한 원로는 “교육부에서 치대를 전문대학원으로 유인하면서 DEET에 대한 재정을 명확하게 확보해주지 않는 것은 문제”라고 지적했다.
한편 교육부에서는 4월 안으로 치전원 관계자들을 소집해 DEET 재정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지 논의할 예정에 있다.
안정미 기자
jmahn@kda.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