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자 기자 2006.04.20 00:00:00
이 유 미 교수
원광치대 졸업
원광대 치과병원 구강내과 전공의 수료
원광대 대학원 치의학 박사
현 원광대 구강내과학교실 전임강사
급성 부정교합(Acute Malocclusion)
급성부정교합이란 교합위치의 급격한 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부정교합을 지칭하는 것으로 하악위를 조절할 수 있는 근의 안정위 길이에 갑작스런 변화가 일어나거나 관절 원판의 변위, 후방부착부 조직의 염증 등으로 인하여 발생하게 된다.
근의 안정위 길이에 이상을 초래하는 경우는 근경련이며 관절원판이 후방이나 내, 외측으로 변위시에 반대측으로 편위하여 폐구하여 부정교합을 보이게 되며, 임상적으로 급성 부정교합을 비교적 많이 야기하는 경우는 원판후 조직염의 경우이다.
이런 부정교합을 야기하는 원인들이 많이 있지만 주로 비교적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미세외상과 거대외상을 포함하는 외상이다.
원판후 조직염(Retrodiscitis)
원판후 조직염을 초래하는 주된 원인요소는 외상이며 주먹으로 턱을 가격하거나 과도한 저작력을 포함하는 하악 운동 등의 거대외상으로 인해 하악과두가 원판후 조직으로 밀려들어가게 되어 염증을 초래하게 된다.
원판후 조직은 혈관과 신경이 매우 풍부하여 큰 하중이 주어지면 손상과 염증이 쉽게 발생한다. 이것을 원판후 조직염이라 하며 이 경우 이악물기때 지속적인 통증이 증가하는 특징을 보인다. 하악을 후방으로 힘을 주어 밀면 이때도 하악과두가 염증으로 인해 생긴 부종을 압박하여 통증이 증가한다. 염증이 심해지면 부종이 생겨 하악과두를 관절 융기 후방 경사의 전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편위가 급성 부정교합을 초래하여 임상 검사시에 이환측 구치는 뜨고 반대측 견치는 강하게 닿는 양상으로 나타나며, 턱관절 동통으로 인하여 개구가 힘들게 된다(그림 1, 2, 3).
이러한 원판후 조직염이나 관절낭염의 경우에는 우선적으로 약물요법을 시행하면서 이환측 턱관절에 ice pack을 냉온을 적용하여 통증을 느끼지 않는 범위내에서 천천히 개구운동을 시킨다. 내원 당일에 Anterior jig를 제작하여 장착하도록 하면 통증 조절과 개구량 증진에 더욱 도움이 되나 장기간 사용하게 되면 전치부 개교합의 위험이 있으므로 단기간 사용한다.
근경련(Myospasm)
근경련은 중추신경계에 의해 유도된 긴장성 근육 수축이며, 급성 부정교합은 근육 장애의 결과이지 원인은 아니다. 근경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