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5개 치전원 “여풍 당당” 지난해 신입생 중 여학생 47.5% 차지 치교협, 2005학년도 치전원 현황 발표

관리자 기자  2006.04.27 00:00:00

기사프린트

-교육과정


2001년도 대비 2005년도 치의학전문대학원(이하 치전원) 전임교수의 숫자가 35% 증가해 2005학년도 5개 치전원의 전임교수 수는 총 248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치전원이 도입되면서 여학생의 비율이 높아져 치의학과의 경우 여학생이 40.6%인 것으로 나타났으나 치전원의 경우 여학생이 47.5%를 차지한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치과대학교육협의회(회장 김중수)는 2005학년도 신입생을 처음으로 선발한 5개 치전원(서울대·경희대·경북대·전남대·전북대)의 2005학년도 교육현황을 정리해 이같이 발표했다. 이번 발표내용에는 5개 치전원의 교육 과정, 학생 현황, 교수 현황, 재정 및 각 대학의 운영현황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재학생 현황


학생들은 하루 평균 4시간 강의를 듣거나 실습을 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으며, 4년 동안 교과과정은 평균 총 5472시간, 학점은 평균 163.8점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교과과정 중 강의 39.5%(2159.6점), 임상실습 30.9%(1693.2점), 임상전 단계실습 20.0%(1096.8점), 기초분야 실습이 9.5%(522.4점)를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학교별로 살펴보면 경북대가 4년 동안 총 5868시간을 교과과정으로 편성해 놓았으며, 학점은 167점을 이수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희대는 총 5319시간·학점 167점, 서울대는 총 4969시간·학점 165점, 전남대는 총4400시간·학점 160점, 전북대는 총 6804시간·학점 160점인 것으로 집계됐다.

 

 

 

-교수


치전원 재학생은 총 337명, 치의학과 재학생은 총 1208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여학생의 비율이 치의학과에 비해 치전원이 되면서 많이 상승된 것으로 조사됐다.
치의학과 재학생은 남학생이 718명, 여학생이 490명으로 여학생이 40.6%를 차지한 것으로 집계됐으나, 치전원 재학생의 경우 남학생이 177명, 여학생이 160명으로 여학생이 47.5%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그러나 여전히 남학생 비율이 여학생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다.

 

 

 

-학생등록금


2001년도 대비 2005년도 전임교수의 숫자가 35% 증가해 2005학년도 치전원의 전임교수 수는 총 248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 임상교수는 2001년도 127명에서 156명으로 22% 증가하는데 그쳤으나 기초교수는 2001년도 57명에서 2005년 92명으로 61%나 증가한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치의학전문대학원이 도입되면서 정부의 지원으로 교수충원이 대거 늘었기 때문이며, 특히 각 대학별로 기초분야의 교수를 많이 충원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전임교수의 수가 가장 많은 대학은 서울대로 90명의 전임교수가 재직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으며, 그 뒤를 이어 전남대 42명, 경북대 40명, 경희대·전북대가 38명인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경희대의 경우 2001년 대비 2005년도 교수 수의 증가비율이 가장 낮은 9%(3명 증가)에 불과했는데 다른 치전원의 경우 치전원으로 전환하면서 국립대로서 정부의 교수 지원이라는 특혜를 받았으나 경희대는 아무런 혜택을 받지 못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전남대는 2001년 대비 2005년도에 62%(16명) 증가해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으며, 경북대는 54%(14명), 서울대는 32%(24명), 전북대는 31%(9명)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등록금이 가장 많은 대학과 가장 적은 대학이 약 세배 가량 차이가 나 큰 편차를 보였다.
경희대는 1학년 등록금이 1천6백만원, 서울대는 1천4백19만3000원, 경북대는 9백89만8000원, 전북대는 9백87만8000원, 전남대는 5백91만6000원인 것으로 조사됐다.
정부의 지원이 국립대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경희대의 경우 치전원으로 도입되면서 석사과정이 폐지되고 임상실습이 강화돼 1천6백만원으로도 재정이 부족하다는 것이 학교 관계자의 입장이다.
가장 저렴한 등록금을 보이고 있는 전남대의 경우 지방에 위치해 있다는 핸디캡을 극복하면